정부 ‘전공의 수련기관 다양화’ 추진했지만…지난해 시범사업서 참여율 저조

  • 동아일보
  • 입력 2024년 8월 7일 17시 11분


사직 전공의들이 복귀를 거부하는 등 의정갈등이 지속되고 있는 가운데 6일 오전 서울의 한 대학병원에서 의료진이 전공의 공간으로 들어서고 있다. 2024.8.6/뉴스1
정부가 이달 말 전공의가 여러 의료기관을 돌면서 수련하는 ‘다기관 협력 수련체계’에 대한 구체안을 발표하기로 한 가운데, 지난해 비슷한 취지로 시행된 시범사업은 참여율이 저조해
제대로 진행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다기관 협력 수련체계’는 정부가 이달 말 발표할 의료개혁 1차 개혁 방안 중 하나다. 전공의들이 여러 의료기관에서 수련을 받으면서 지역의료, 공공의료 등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다양하나 임상 경험을 쌓을 수 있게 하겠다는 취지다. 정부 관계자는 “현재 대부분의 전공의들이 상급종합병원에서 암 수술 등의 고난도 의료를 중점적으로 익히다보니 다양한 임상경험이 부족해 이른바 ‘외과 전문의를 따고도 맹장 수술을 못하는 의사’가 나온다는 문제 의식을 갖고 있다”고 설명했다.

하지만 지난해 비슷한 취지로 시행한 시범사업의 성과는 저조한 것으로 나타났다. 국회예산정책처는 최근 2023회계연도 결산 분석 보고서에서 지난해 시범사업에 참여한 국립대병원(강원대병원 분당서울대병원 서울대병원 전북대병원 충북대병원)에선 공공임상교수를 제대로 뽑지 못해 해당 시범사업이 제대로 운영되지 않았다고 지적했다. 이들 국립대병원에선 공공임상교수가 모집자 수 77명에 실제 선발자 수 21명으로 충원률이 27%에 그쳤다. 전공의를 다른 병원으로 보내 수련을 받게 하려면, 그 전공의를 가르칠 교수가 필수적인데 교수 채용이 제대로 이뤄지지 않은 셈이다.

보건복지부는 지난해부터 ‘전공의 공동수련모델 시범사업’을 시행하고 있다. 국립대병원의 전공의와 전공의 수련을 담당할 교수(공공임상교수) 일부를 지방의료원에서 순환근무 하게 하면서 전공의는 임상경험을 쌓고 지역의료는 살리는 ‘윈윈’ 효과를 노린 시범사업이다.

의료현장에선 공공임상교수를 할 유인책이 부족하다는 목소리가 크다. 한 국립대병원 관계자는 “국립대병원에서 일할 필수의료과 교수도 구하기 어려운데 지방의료원에까지 가서 순환근무를 할 교수를 구하기란 쉽지 않다”고 말했다.

의료개혁특별위원회(의개특위)는 이달 말 발표할 1차 개혁방안에서 지난해의 시범사업을 확장해 국립대병원 뿐만 아니라 민간병원까지 수련 의료기관에 포함시키는 일명 ‘다기관 협력 수련 모형’을 만들고 있다. 이름은 다르지만 지난해 시범사업과 비슷한 취지다. 정부 관계자는 “그동안 공동수련 참여 의료기관과 의료진에 대한 지원이 부족했던 것 같다. 공동수련에 참여하는 전공의를 지도할 수 있는 전문의 등에 대한 보상을 강화할 것“이라고 말했다.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