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대기를 분석한 결과 포장재나 각종 용기에 널리 사용되는 폴리에틸렌(PE) 입자가 검출된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시 보건환경연구원은 지난해 9월부터 올해 2월까지 서초구 양재동에 있는 연구원 건물 옥상에 미세먼지 채취 장치를 설치한 후 맑은 날 월 1회(24시간) 시료를 포집해 분석했다고 13일 밝혔다.
분광기를 활용해 미세플라스틱 개수를 분석한 결과 5㎛ 이상 미세플라스틱 평균 개수는 대기 1㎥당 71개였다. 12월의 경우 미세플라스틱 평균 개수가 122개로 치솟았다. 포장재나 플라스틱 용기, 비닐 봉투 등에 사용되는 폴리에틸렌(PE)의 비율이 46.6%로 가장 높았다. 식품 용기나 컵 등에 사용되는 폴리스타이렌(PS)이 뒤를 이었다.
그 외에 확인된 미세플라스틱은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프로필렌(PP), 폴리우레탄(PU), 폴리염화비닐(PVC), 폴리아마이드(PA), 아크릴 등이었다.
가을에는 폴리에틸렌, 폴리스타이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순으로 많았고 겨울에는 폴리에틸렌, 폴리스타이렌, 폴리우레탄,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순으로 많이 검출됐다. 합성섬유나 침구 매트리스에 많이 쓰이는 폴리우레탄 비율은 가을 0.9%에서 겨울 11.5%로 약 10.6%포인트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다.
향후 연구원은 미세플라스틱 분석 크기를 1㎛까지 확대하고 봄과 여름철의 대기 분석을 통해 계절별 미세플라스틱 발생 특성을 파악할 계획이다.
연구원은 “일회용을 포함한 플라스틱 제품의 사용 증가로 인해 버려지는 플라스틱도 늘고 있는 만큼 일상생활에서 플라스틱 사용량을 줄이고 재활용 활성화를 위한 생활 문화 확산과 사회적 분위기 마련이 필요하다”고 짚었다.
박주성 보건환경연구원장은 “그간 미세플라스틱 분석은 대부분 해양이나 토양 환경에 편중돼 도심 속 대기 환경에서 미세플라스틱 조사·연구 결과는 턱없이 부족한 실정”이라며 “앞으로 대기에 포함된 미세플라스틱 분석 방법을 표준화하고 생활밀착형 정책을 수립하기 위해 다양한 데이터를 확보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