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살 사망자 96.6% 사망 전 경고 신호 보낸다…“관심과 지지 필요”

  • 동아닷컴
  • 입력 2024년 8월 27일 16시 13분


코멘트

2015~2023년 심리부검 면담 분석 결과 발표

게티이미지뱅크
게티이미지뱅크

자살 사망자의 96.6%가 사망 전 경고신호를 보냈으나 이를 인지한 경우는 23.8%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27일 보건복지부는 한국생명존중희망재단과 함께 2015년부터 2023년까지 9년간 진행한 심리부검 면담 분석 결과를 발표했다. 분석 대상은 유족 1262명으로부터 얻은 자살 사망자 1099명에 대한 심리부검 면담 자료이다.

심리부검이란 자살 사망자의 가족 또는 지인의 진술과 고인의 기록을 검토해 자살 사망자의 심리·행동 양상과 변화를 확인, 자살의 원인을 추정하는 조사 방법이다.

심리부검 대상 자살 사망자의 인구 사회학적 특성을 살펴보면 남성이 64.7%, 여성이 35.5%를 차지했고 평균연령은 44.2세, 1인 가구는 19.2%로 나타났다. 고용 형태는 피고용인이 38.6%로 가장 많았고 소득수준은 월 100만 원 미만인 저소득층이 46.5%로 나타났다.

자살 사망자는 평균 4.3개 스트레스 사건을 다중적으로 경험한 것으로 나타났다. 생애주기별로 살펴보면 청년기(34세 이하)는 다른 생애주기에 비해 실업자 비율과 구직으로 인한 직업 스트레스 경험 비율이 높았다. 장년기(35~49세)는 직업과 경제 스트레스 경험 비율이 가장 높았고 세부적으로는 직장동료 관계 문제, 사업 부진 및 실패, 부채 등이 높았다. 노년기(65세 이상)는 대인관계 단절 비율이 가장 높았으며 만성질병으로 인한 신체 건강 스트레스, 우울장애 추정 비율이 높았다.

자살 사망자의 96.6%가 사망 전 경고신호를 보였으나 주변에서 인지한 비율은 23.8%에 불과했다. 경고신호를 드러낸 시기를 분석한 결과 사망 1개월 이내의 경우 감정 상태 변화(19.1%)와 주변 정리(14.0%) 순으로 나타났으며, 사망 1년 이상 전부터 높은 비율로 나타난 경고신호는 수면 상태 변화(26.2%)와 자살에 대한 언급(24.1%) 순으로 나타났다.

심리부검 면담에 참여한 유족의 98.9%는 사별 후 심리·행동(97.6%), 대인관계(62.9%), 신체 건강(56.5%), 가족관계(52.2%) 등의 변화를 경험했고 심한 우울(20.0%), 임상적 불면증(33.1%), 복합 비탄(37.8%), 자살사고(思考, 56.3%)와 같은 정신건강 관련 문제도 겪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족의 72.7%는 고인의 자살 사망 사실을 주변에 알리지 못했는데, 그 이유로는 상대방이 받을 충격에 대한 우려와 자살에 대한 부정적 편견 등이 있었다.

1인 가구의 경우, 청년기가 차지하는 비율은 43.8%로 다인 가구 청년기 비율(28.0%)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자택 내 사망 비율도 69.0%로 다인 가구(53.2%)보다 높았다. 또한 1인 가구의 비정규직 비율(43.7%)은 다인 가구(29.7%)보다 높았으며, 지속적 빈곤으로 인한 스트레스 비율(15.3%)이 다인 가구(8.7%)보다 높아 1인 가구의 상당수는 고용불안정과 낮은 소득으로 인한 경제적 어려움을 경험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보건복지부 이형훈 정신건강정책관은 “자살 시도자 등 자살 고위험군이 보내는 경고신호에 대한 가족·친구·동료 등 주변의 관심과 지지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2023년 심리부검 면담 결과 보고서’는 보건복지부, 한국생명존중희망재단 누리집에 게시되며, 전국 정신건강복지센터(자살예방센터)에 배포할 예정이다.
#자살사망자#심리부검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오늘의 추천영상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