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차전지 폐수가 지역 기업과 지방자치단체의 갈등 사안으로 떠오르자 환경부가 연말까지 폐수 ‘염 농도’에 대한 가이드라인을 만들기로 했다. 염 농도는 기업의 폐수 처리 방식, 처리 비용 등에 영향을 미친다. 기업들은 비용 증가를 우려하는 분위기다.
3일 동아일보 취재에 따르면 환경부는 연말까지 공공 하수처리 방식과 바다 직방류 방식을 구분해 염 농도의 가이드라인을 제시할 예정이다. 폐수에 들어 있는 고농축 염 성분은 바다 생물 및 생태계에 위협이 되는 물질이다. 환경부는 관련 가이드라인을 만들기 위해 폐수 배출량과 생태계 유해성 사이의 상관 관계를 우선 분석할 계획이다.
이런 방침에 기업들은 비용 부담을 걱정하고 있다. 관련 업계에 따르면 5∼7% 수준의 염 농도를 1%포인트 낮추려면 수천억 원에 달하는 비용과 기술력이 필요하다. 고려아연은 울산시에 ‘관련 시설 설치 비용 5000억 원, 1년 운영비 480억 원 소요’라고 보고했다. 한 기업 관계자는 “새만금에 투자하기로 한 일부 기업들이 공장 착공을 미루거나 공사 진행을 일부러 늦추고 있다”고 전했다.
정성균 UNIST(울산과학기술원) 에너지화학공학과 교수는 “생산공정상 엄청나게 쏟아질 수밖에 없는 폐수를 재활용하는 등의 방안을 공동 연구해야 한다”고 말했다. 해외에선 황산염 등 폐기물을 비료로 재활용하는 곳도 있다. 스웨덴 스타트업 시니스 퍼틸라이저는 스웨덴 배터리 기업 노스볼트가 배출하는 황산염으로 비료를 생산하는 공장을 올해 5월 건설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