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독]대학 배터리 연구실 절반은 안전수칙 없어…‘안전 사각지대’ 우려

  • 동아일보
  • 입력 2024년 9월 10일 17시 49분


코멘트
6월 24일 오전 경기 화성시 서신면의 일차전지 제조 업체인 아리셀 공장에서 불이 나 소방 당국이 진화에 나서고 있는 모습. 이 화재로 23명이 숨졌다. 정부는 10일 위험성 높은 전지공장을 ‘화재안전 중점관리대상’으로 지정하고, 리튬전지는 특수가연물로 지정하는 등의 대책을 발표했다. 사진은 연기가 치솟는 공장 건물. (독자제공)2024.6.24/뉴스1

배터리 산업이 성장하며 전국 주요 대학 배터리 연구실이 최근 5년간 3배로 늘었지만 별도 안전수칙을 보유한 곳은 절반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정부가 아리셀 공장 화재를 계기로 ‘전지공장 화재 재발 방지대책’을 발표한 가운데 대학 내 연구실이 배터리 화재의 사각지대가 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10일 국회 환경노동위원회 소속 국민의힘 김위상 의원실이 과학기술정부통신부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주요 대학 배터리 연구실은 2019년 말 143곳에서 올해 8월 말 기준 466곳으로 늘어났다. 하지만 이중 배터리와 관련한 별도의 안전 수칙을 보유하고 있는 곳은 259곳에 불과했다.

정부가 매년 실시하는 연구실 안전관리 실태조사에서 지적되는 건수도 늘었다. 2019년 485건에 불과했던 안전 지적 건수는 지난해 1551건으로 급증했다.

지난해 서울 소재 국립대 소프트로봇 연구센터에서는 소화기 미비치, 피난구 유도등 설치 누락, 유해인자 취급 및 관리대장 미작성 등 8건을 지적받았다. 같은 해 서울 한 사립대 나노 물리 연구실에서는 소화기 사용 연수가 10년이 경과된 사실이 파악됐다. 또 실험실 내 인화성 물질 다량 보관, 산소농도 측정기 및 국소 배기장치 미설치 등 15건이 확인됐다.

이러다 보니 연구실에서 화재가 발생하는 경우도 잦은 편이다. 올해 3월 광주과학기술원 연구실에서는 충전 중이던 리튬배터리에서 발화된 것으로 추정되는 화재가 발생해 소방 추산 900여만 원의 재산 피해를 냈다.
그럼에도 연구실 안전 정기교육 대상자들의 교육 이수율은 최근 5년간 63%에 머물고 있다. 같은 기간 기업과 연구기관의 이수율이 각각 99.5%, 94.6%에 달했던 것에 비하면 현저히 저조한 수준이다.

전문가들은 대학 배터리 연구실이 배터리 화재의 사각지대가 되지 않도록 면밀한 관리 필요하다고 지적한다. 정부는 이날 경기 화성시 리튬전지 제조업체 아리셀 공장 화재와 같은 사고를 방지하기 위해 위험성 높은 전지공장을 ‘화재안전 중점관리대상’으로 지정하고, 리튬전지는 ‘특수가연물’로 지정하는 등의 대책을 발표했다.

공하성 우석대 소방방재학과 교수는 “대학 실험실이나 연구실에서는 상당히 많은 화재가 발생하지만 관리 대책은 마땅히 없는 상황”이라며 “전지 공장에서 불이 났다고 해서 공장만 생각할 것이 아니라 배터리를 취급하는 관련 분야를 면밀히 살펴 안전 기준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김위상 의원은 “대학 배터리 연구실은 자칫 큰 사고로 이어질 수 있는 안전 사각지대”라며 “연구실 안전교육 의무시행 방안과 함께 별도의 배터리 안전수칙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배터리#안전수칙#대학 연구실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