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고령인구 구성비 2024년 19.2%→2072년 47.7%
총 인구 2024년 5200만→2072년 3600만 명 축소
50년 뒤인 2072년에는 한국이 전 세계에서 3번째로 65세 이상 노인 인구가 많은 나라일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반면 총인구와 생산연령인구(15~64세)는 지속적으로 줄어들 것으로 예측됐다.
통계청이 23일 내놓은 ‘2022년 기준 장래인구추계를 반영한 세계와 한국의 인구현황 및 전망’에 따르면 한국의 고령인구 구성비는 2024년 19.2%에서 2072년 47.7%로 증가할 것으로 전망됐다. 이는 전 세계의 고령인구 구성비가 2024년 10.2%에서 2072년 20.3%로 증가하는 것과 비교해 훨씬 가파른 추이다.
현재 한국의 고령인구 구성비 순위는 45위이지만 2072년엔 홍콩(58.5%), 푸에르토리코(50.8%) 다음으로 세계 3위를 기록할 것으로 예측됐다.
고령인구 구성비가 급증하며 총부양비도 급속하게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 한국의 총부양비는 2072년 118.5명으로 2024년(42.5명) 대비 2.8배 높아질 전망이다. 역시 홍콩(170.9)과 푸에르토리코(134.6)에 이어 세계에서 세 번째로 높은 수준이다. 같은 기간 세계의 총부양비는 2024년 53.7명에서 2072년 62.7명으로 1.2배 수준만 증가할 것으로 전망됐다.
반면 고령인구가 늘어나는 것과는 반대로 한국의 총인구, 생산연령인구는 다른 나라에 비해 훨씬 급격하게 줄어들 전망이다. 2024년 한국 총 인구는 5200만 명에서 2072년 3600만 명으로 감소할 것으로 예측됐다. 같은 기간 세계 인구가 2024년 81억6000만 명에서 2072년 102억2000만 명으로 증가하는 것과는 상반된 결과다. 총 인구 순위도 현재 29위에서 2072년엔 59위까지 떨어질 전망이다.
한국의 생산연령인구 구성비도 2012년 73.4%를 정점으로 계속 감소해 2072년에는 45.8%(전세계 하위 3위)까지 낮아질 것으로 전망됐다.
한 여성이 평생 낳을 것으로 예상되는 평균 출생아수를 의미하는 합계출산율 수치 역시 하락세를 보였다. 한국의 합계출산율은 2023년 0.72명으로 1970년 4.53명에 비해 3.81명(-84.1%) 감소했다. 세계의 합계출산율이 2023년 2.25명으로 1970년 4.83명에 비해 2.57명(-53.3%) 감소한 것과 비교하면 급격하게 줄어든 수준으로, 마카오를 제외하면 세계 국가 중 가장 낮을 것으로 추정된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