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도권으로 떠난 청년, 非수도권 청년보다 소득 35% 높지만 삶의 질 낮다

  • 동아일보
  • 입력 2024년 9월 26일 16시 41분


코멘트
19일 오전 서울 세종대로 광화문광장 인근에서 시민들이 발걸음을 옮기고 있다. 2024.9.19. 뉴스1
19일 오전 서울 세종대로 광화문광장 인근에서 시민들이 발걸음을 옮기고 있다. 2024.9.19. 뉴스1


학업과 취업 등을 위해 수도권으로 떠난 청년이 비수도권에 남은 청년보다 소득이 35%가량 높지만, 삶의 질은 상대적으로 더 낮다는 분석 결과가 나왔다.

26일 통계청이 발표한 ‘통계플러스 2024년 가을호’에는 이같은 내용의 ‘수도권으로 떠난 청년과 비수도권에 남은 청년의 삶의 질 비교’ 보고서가 실렸다. 보고서에 따르면 2022년 기준 수도권으로 떠난 청년의 연간 총소득은 2743만 원으로, 비수도권에 남은 청년의 소득(2034만 원)보다 34.9%(709만 원) 더 많았다. 취업자 비율도 수도권으로 떠난 청년(72.5%)이 비수도권에 남은 청년(66.4%)보다 6.1%포인트 높았다. 해당 보고서는 19세 이상 34세 이하 청년의 이동경로를 4개 집단으로 분류한 뒤, 비수도권에서 수도권으로 떠난 청년과 비수도권에 머무르는 청년을 비교했다.

반면 수도권으로 떠난 청년들은 비수도권에 남은 청년들에 비해 더 오랜 시간 일하는 등 삶의 질은 더 낮았다. 수도권으로 떠난 청년의 장시간 근로 경험(21.0%)은 비수도권 청년(12.7%)보다 8.3%포인트 높았다. 이러한 이유로 수도권을 떠난 청년들이 느끼는 삶의 행복감(6.76점)은 비수도권에 남은 청년(6.92점)보다 0.16점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수도권으로 떠난 청년들 중 ‘최근 1년 동안 업무·학업·취업 준비 등으로 소진됐다고 느낀 적이 있다’고 응답한 비율도 42.0%로 비수도권에 남은 청년(29.7%)보다 12.3%포인트 높았다.

보고서는 “비수도권 청년이 다양한 일자리와 높은 소득 등을 이유로 수도권으로 이동했으나, 장시간 근로 등으로 삶의 행복감은 더 낮아졌다”며 “청년들이 나고 자란 곳에서 학업, 취업이 가능하도록 대안 마련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한편 통계개발원은 이날 ‘인구의 고령화와 감소 문제를 이민으로 해결할 수 있을까’ 보고서도 함께 발표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향후 국내 이민자가 2016∼2020년 연평균 수준의 2배인 25만 명으로 늘어난다고 가정해도, 2170~2320년 사이 국내 총인구는 2116만 명에 그칠 전망이다. 이는 현재 기준 인구(2021년·5170만 명)의 40.9% 수준이다. 해당 보고서를 작성한 우해봉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연구위원은 “고령화와 인구 감소 같은 인구학적 조건을 조절하기 위한 목적의 이민정책은 타당성이나 실현 가능성 측면에서 한계가 분명히 있다”고 지적했다.

#청년#삶의 질#취업#수도권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