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보 진료’ 안하는 병원 2221곳, 28%가 강남

  • 동아일보
  • 입력 2024년 10월 8일 03시 00분


수익 높은 비급여 항목 진료에 집중
건보 미청구 기관 5년새 20% 늘어
의원급 80% 최다… 한의원-치과順
“비필수 분야 의사 쏠림 심화” 지적

지난해 건강보험이 적용되는 진료를 전혀 안 한 병원이 전국적으로 2221곳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상당수가 피부미용 분야 병원으로 추정된다. 비급여란 건보 혜택이 적용되지 않아 환자가 전액 부담하는 항목으로 병원이 진료비를 임의로 책정해 받을 수 있다. 건보 급여 청구를 전혀 안 한 병원은 5년 사이에 20%가량 늘었는데 이를 두고 비필수 분야 의사 쏠림 현상이 심화되고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 건보 미청구 병원 5년 새 20% 늘어

7일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소속 국민의힘 최보윤 의원이 건강보험심사평가원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건보 급여 청구 금액이 ‘0원’인 병원은 총 2221곳이었다. 건강보험 대상이 아닌 비급여 진료만 한 병원은 2019년 1851곳에서 2023년 2221곳으로 5년 새 약 20% 늘었다.

비급여는 정부에서 통제하는 수가(건강보험으로 지급하는 진료비)에 의존하지 않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높은 수익을 낼 수 있다. 이른바 ‘피안성’(피부과 안과 성형외과)이 인기가 높은 것도 비급여 항목 진료가 많기 때문이다. 반면 인기과로 의사들이 몰리면서 소아청소년과, 산부인과 등 필수의료 분야 의사 부족 현상은 갈수록 가속화되고 있다.

건보 청구를 안 하는 병원을 유형별로 보면 동네 병원인 ‘의원급’이 1778곳(80.1%)으로 대부분을 차지했다. 한의원 271곳(12.2%), 치과의원 151곳(6.8%) 등이 뒤를 이었다.

의원급 1778곳 중에는 전문과목을 표시하지 않고 피부 미용 등 여러 과목을 진료하는 일반의원이 996곳(56.0%)으로 과반을 차지했다. 일반의원은 전문의가 아닌 일반의가 개원한 병원이다. 성형외과가 690곳(38.8%)으로 뒤를 이었다.

● 4분의 1이 강남에 집중 분포

뉴스1
건보 미청구 병원을 지역별로 보면 ‘수도권 쏠림 현상’이 두드러졌다. 서울(1145곳)과 경기(282곳), 인천(66곳)을 합치면 총 1493곳으로 전체의 3분의 2를 차지했다.

특히 ‘미용성형의 메카’로 불리는 서울 강남구에는 건보 미청구 병원이 628곳(28%)으로 전국 시군구 중 가장 많았다. 전체의 4분의 1 이상이 강남구에 집중된 것이다. 서울 서초구(168곳), 부산 부산진구(87곳), 대구 중구(78곳) 등이 뒤를 이었다.

보건복지부는 지난달 발표한 ‘의료개혁 1차 실행 방안’에서 비급여 표준가격제 도입 등을 통해 비급여 진료비를 관리하겠다는 방침을 밝힌 바 있다. 동시에 필수과 보상을 강화해 의사 쏠림 현상을 완화할 방침이다.

최 의원은 “내과, 외과 등 필수의료 분야는 만성적 인력난을 겪는 상황에서 비급여 중심 병원은 갈수록 늘고 있다”며 “상황이 심화될 경우 취약계층의 의료 접근성을 위협할 수 있기 때문에 정부가 적절한 필수의료 인력 배치를 위한 대책 마련에 더 적극적으로 나서야 한다”고 강조했다.

#건보 진료#병원#2221곳#28%#강남
  • 좋아요
    1
  • 슬퍼요
    0
  • 화나요
    3

댓글 5

추천 많은 댓글

  • 2024-10-08 03:42:38

    피안성 의사가 어느 정도 늘어나면 경쟁에 의해 수익율이 저하되고 필수 의료 의사들이 늘어날것이다

  • 2024-10-08 10:25:45

    정확히 봐야하는 2가지 1.환자의 약점을 이용하여 고가의 의료비를 받는 비양심적인 의사들의 문제점 2.이런 비싼 의료비를 감수하고 찾아가는 환자들(외국인이야 어쩔수 없겠지요?) 그럼에도 의료정책은 객관성을 유지하는 비급의 의료수가를 공시하여 모르고 당하는 국민들의 없도록 의료수가를 공지하고 갖에화는 필요함

  • 2024-10-08 15:51:44

    저급한 💰 벌레들...

지금 뜨는 뉴스

  • 좋아요
    1
  • 슬퍼요
    0
  • 화나요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