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6일 진행된 서울시교육감 보궐선거의 투표율은 23.5%로 집계됐다. 전체 유권자 832만 명 중 100만 명의 표도 채 얻지 못한 교육감 당선자가 나온 것이다. 낮은 관심으로 선거 때마다 대표성에 의문이 제기되는 교육감 직선제를 이대로 유지할 것인지 심층 논의가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중앙선거관리위원회에 따르면 선거 당일인 16일 투표소를 찾아 투표를 한 서울시민은 약 125만 명으로 전체 유권자의 15%에도 못 미쳤다. 시내 곳곳에 마련된 투표소도 대체로 한산한 모습이었다. 일부 유권자는 투표하는 사람이 없는 모습을 보고 고개를 두리번거리며 제대로 찾아왔는지 확인하기도 했다.
특히 본 투표에 앞서 11, 12일 진행된 사전투표는 투표율 8.28%로 2014년 사전투표 도입 이후 가장 낮았다. 선관위 관계자는 “교육감 단독 선거가 진행되면서 투표율이 한층 저조했다”고 설명했다. 낮은 투표율 속에서도 ‘강남 3구’의 투표율은 상대적으로 높았다. 25개 자치구 중 서초구가 27.7%로 가장 높았고 강남구가 25.3%로 3번째, 송파구가 25.2%로 4번째였다.
2007년 직선제 도입 이후 지방선거와 함께 치러지지 않는 교육감 선거의 투표율은 극단적으로 낮았다. 서울에서 직선제 선거가 처음 치러진 2008년 투표율은 15.4%에 불과했다. 사전투표 도입 후 다소 높아졌지만 2009년 4월 경북교육감 선거 투표율은 24.3%, 같은 날 치러진 충남교육감 선거는 17.6%를 기록했다.
이번 선거의 경우 역대 최저 기록을 면하긴 했지만 84만 명의 학생과 연간 13조 원의 예산을 책임지는 ‘교육 소통령’에 위상에는 걸맞지 않다는 지적이 제기된다. 또 지방자치단체장과 교육감을 ‘러닝메이트’로 통합해 선출하는 방안 등 대안을 마련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다. 김동석 한국교원단체총연합회(교총) 교권본부장은 “교육감 직선제 도입 당시 취지가 대표성과 정당성 확보인데 투표율이 이처럼 낮으면 취지가 무색해진다”며 “이런 선거를 계속해야 하는 의문이 커질 수밖에 없다”고 했다.
한편 이날 영광군수 재선거 최종 투표율은 70.1%였다. 지난해 10월 치러진 서울 강서구청장 보궐선거(48.7%)보다 21.4%포인트 높았고, 2022년 6·1 지방선거 영광군수 선거 투표율(70.2%)과 비슷했다. 정치권에선 “더불어민주당과 조국혁신당, 진보당이 각축을 벌이며 지지층이 결집한 결과”라는 분석이 나왔다. 전남 곡성군수 재선거 투표율은 64.6%, 부산 금정구청장 보궐선거는 47.2%, 인천 강화군수 보궐선거는 58.3%를 기록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