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지상철도 全구간 지하화…철도 자리엔 ‘68㎞ 연트럴파크’

  • 뉴시스(신문)
  • 입력 2024년 10월 23일 10시 37분


경부선 일대 34.7㎞, 경원선 일대 32.9㎞…통합개발 계획
사업비, 상부 개발이익으로 충당…개발이익 31조원 추정
선로 부지 약 37만평 대규모 녹지, 역사 부지는 복합개발
국토부에 ‘선도 사업지’로 제안…선정 시 2027년부터 시행

오세훈 서울시장이 23일 오전 서울시청에서 열린 서울시 철도지하화 통합개발 기자설명회에서 모두발언을 하고 있다. 2024.10.23 [서울=뉴시스]
오세훈 서울시장이 23일 오전 서울시청에서 열린 서울시 철도지하화 통합개발 기자설명회에서 모두발언을 하고 있다. 2024.10.23 [서울=뉴시스]
서울 서남권에서 동북권까지 잇는 지상철도 전체 구간 6개 노선이 지하화된다. 선로 부지에는 약 37만평(122만㎡)에 달하는 녹지 공원인 ‘제2의 연트럴파크’가 조성되고, 역사 부지에는 업무·상업·문화시설 등 복합개발이 추진된다.

서울시는 23일 서울 시내 지상철도 전체 구간에 대한 지하화 구상안을 담은 ‘철도 지하화 통합개발 계획’을 발표했다.

현재 서울 시내 철도 지상구간은 6개 노선, 약 71.6㎞로 15개 자치구를 통과하고 있다. 이번에 서울시가 최종 선정한 철도 지하화 구간은 경부선 일대 34.7㎞, 경원선 일대 32.9㎞ 등 총 67.6㎞로 총 39개 역사를 포함하고 있다. 대부분 서울 중심을 관통하는 핵심 지역이지만 지상 철도로 인해 발전이 더딘 곳이다.

오세훈 서울시장은 “그동안 지상철도는 서울의 중심지와 생활권을 단절시키고 주변 지역을 쇠퇴하게 하며 소음과 진동으로 시민들의 삶의 질을 저해해 왔다”며 “서울은 그 어느 지역보다 철도 지하화에 대한 시민 염원이 크고, 지하화가 이뤄질 경우 서울의 도시 경쟁력은 한층 더 높아질 것”이라고 밝혔다.

그간 철도 지하화 사업은 제도상 제약 등으로 번번이 무산됐으나, 지난 1월 정부의 ‘철도 지하화·철도부지 통합개발에 관한 특별법’ 제정에 따라 물꼬를 트게 됐다.

철도 지하화는 국토교통부가 철도 지하화 통합개발 ‘종합계획’을 수립하고, 지자체가 ‘노선별 기본계획’을 수립하면 사업시행자가 개별 사업을 시행하는 방식으로 추진된다.

시는 다수 노선을 공유하는 복잡한 철도망의 특성과 지상·지하 연결 여부 등 기술적 검토를 바탕으로 지하화가 가능한 대상 구간을 최종 선정했다고 설명했다.

세부 노선은 도심 중앙에 위치한 ‘서빙고역’을 기준으로 경부선 일대, 경원선 일대 등 총 2개 구간 내 6개 노선이다.

경부선 일대에는 경부선(서울역~석수역), 경인선(구로역~오류동역), 경의선(가좌역~서울역)에 경원선 일부(효창공원역~서빙고역)가 포함됐다. 경원선 일대는 경원선(서빙고역~도봉산역), 중앙선(청량리역~양원역), 경춘선(망우역~신내역) 등이다.

경의선 중 ‘수색역’은 지하화 구간에 포함되지 않았다. 수색역의 경우 물동량이 많아 개발이익 등을 감안해 대상지에서 제외됐다는 설명이다.

철도 지하화는 가급적 기존 노선의 하부를 지나는 것을 원칙으로, 지하 약 40~60m 깊이를 파 철로를 내는 ‘대심도’ 방식으로 추진된다. 철도를 지상에서 지하로 연결하기 위해서는 물리적 공간이 필요한데, 현재 도봉산역과 가좌역, 서빙고역 등 7개 역사에서 진출입 공간이 확보될 것으로 분석됐다.

해당 구간에 대한 지하화 사업비는 경부선 일대 15조원, 경원선 일대 10조6000억원으로 총 25조6000억원로 추산됐다. 사업비는 상부공간에 대한 개발이익으로 충당될 예정이다.

상부공간에 따른 전체 개발이익은 경부선 구간 약 22조9000억원, 경원선 구간 약 8조1000억원 등 총 31조원에 달할 것으로 예상됐다. 개발이익을 바탕으로 한 사업비 조달비율은 121%로 별도의 예산 투입없이 철도 지하화 실현이 가능할 것으로 전망됐다.

철도 지하화로 발생하는 선로 부지는 약 122만㎡, 역사 부지는 171만5000㎡에 달한다. 시는 선로 부지에는 녹지 네트워크등 공원을 조성하고, 역사 부지는 매각을 전제로 한 입체·복합개발을 통해 ‘신(新) 경제코어’로 조성한다는 계획이다. 사업성 확보를 위해 주변 여건을 종합적으로 고려한 뒤 용도지역 상향 등 지원에 나설 예정이다.

조남준 서울시 도시공간본부장은 “공사비는 금리나 물가 상승률 등을 감안해 추산했고, 개발이익에 대한 부분은 보수적으로 잡아 예상 사업비와 개발이익 범위 내에서 크게 벗어날 것으로 판단하지 않는다”며 “국토부와 협의해 정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이번 철도 지하화 사업에 따라 서울역·용산역 등 대규모 역사에서 발생하는 개발이익을 지상철도로 낙후된 서남권과 동북권 등의 지역 발전에 활용한다는 측면에서 ‘도시 균형발전’이라는 큰 의미가 있다는 설명이다.

시는 이번에 발표한 구간을 국토부에 ‘선도사업지’로 제안할 계획이다. 올 연말 선도사업지로 선정되면 시는 내년 5월 종합계획노선을 제안하고, 내년 1월 종합계획을 수립하게 된다.

2026~2027년 설계가 완료되면 본격적인 공사 착수는 2028년 가능할 전망이다. 철도 지하화까지는 2032년까지 5년 정도 소요되고, 상부 역사부지 개발은 2035년부터 10년 정도 소요될 것으로 예측됐다.

오 시장은 “국토부와 지속적인 협의를 통해 시민 생활 개선은 물론 서울의 도시경쟁력을 한단계 업그레이드 할 철도 지하화를 차질없이 추진해 나가겠다”고 강조했다.

[서울=뉴시스]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댓글 0

오늘의 추천영상

지금 뜨는 뉴스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