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금성호 침몰에 전문가들 “무게 균형 고려 안 했을 가능성”

  • 동아일보
  • 입력 2024년 11월 8일 20시 40분


8일 새벽 4시33분쯤 제주 비양도 북서쪽 24㎞ 해상에서 129톤 규모의 ‘135금성호’가 침몰했다. 승선원 27명 중 12명이 실종돼 해경과 해군 등이 수색 작업을 벌이고 있다. 제주해양경찰청 제공


8일 제주 해상에서 전복된 129 t 급 대형어선 135 금성호 소식을 접한 전문가들은 복원력(원래 상태로 돌아가려는 힘) 상실 등을 원인으로 지목했다.

함은구 을지대 바이오공학부 안전공학전공 교수는 “해당 어선 규모면 물고기를 40~90 t 가량은 저장할 수 있는데 물고기뿐만 아니라 그물 추 무게까지 더해져 굉장히 무거운 상태였을 것”이라며 “한꺼번에 운반선으로 옮기는 과정에서 무게 중심과 복원력을 상실했을 것”이라고 분석했다.

선장 출신인 김인현 고려대 해상법연구센터 센터장은 “이적 작업 중 배가 기울며 전복된 것 같다”며 “배 밑에 무게가 충분히 무거워야 오뚜기처럼 다시 일어서는데 이 복원성이 부족해 발생한 사고”라고 분석했다.

‘만선’의 어획량과 바닷물이 선박에 무게 압력을 더했을 것이라는 분석도 나왔다.

정봉규 경상국립대 해양경찰시스템학과 부교수는 “어획물만 움직이는 게 아니라 많은 양의 해수도 같이 이동하는 거라 배 균형이 안 맞아 사고가 났을 수 있다”고 말했다.

정창현 국립목포해양대 항해학부 교수는 “순간적으로 어획을 넣으면서 바닷물이 얼마나 들어올지 예상을 못 했고, 그래서 배가 얼마나 기울지 판단을 못했을 수 있다”고 말했다.
일각에선 인재(人災)일 가능성도 제기됐다.

정영석 한국해양대 해사법학부 교수는 “어획물을 이적하는 어로 작업을 할 땐 무게 균형을 맞춰야 하는데 선장이나 항해사가 그 부분을 고려하지 않았을 가능성도 있다”며 “또 외국 인부들과의 의사소통 문제도 있었을 수 있다”고 말했다.

공길영 한국해양대 항해학부 교수는 “무게 중심이 쏠리면서 발생하는 좌우 흔들림을 막으려면 안전 수칙에 따라 밧줄로 고정해야 하지만 어업 현장에선 빨리 많은 고기를 잡기 위해 안전 조치를 종종 안 지키기도 한다”고 말했다.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