드레스 피팅비 등 옵션 30개 달해
공정위, 기본 서비스 포함되게 시정
불공정 약관 계속땐 고발당할 수도
지난해 9월 결혼한 장모 씨(32)는 결혼식 때 입을 드레스를 빌리면서 100만 원의 대여료 외에 6만 원의 ‘피팅비’를 따로 냈다. 빌릴 드레스를 미리 입어 보려면 다섯 벌당 3만 원을 따로 내야 했기 때문이다. 장 씨는 “그나마 추가 비용이 적은 곳을 고른 게 이 정도다”라며 “결혼 서비스에 쓸데없는 거품이 많이 끼어 있는 것 같다”고 말했다.
앞으로는 예비부부들이 결혼 준비 과정에서 부당한 ‘스드메(스튜디오 촬영, 드레스 대여, 메이크업)’ 추가 요금을 안 내도 될 것으로 보인다. 예비부부를 울리는 결혼 준비 대행업체의 갑질 약관이 무더기로 적발, 시정됐기 때문이다.
12일 공정거래위원회는 18개 대행업체의 약관을 심사해 6개 유형의 불공정 조항을 시정했다고 밝혔다. 대행업체는 사진 촬영 업체, 드레스숍, 미용실과 제휴를 맺고 스드메 서비스를 패키지로 제공하는 업체인데, 가격과 서비스 정보가 투명하게 공개되지 않아 ‘깜깜이’라는 지적이 많았다.
이번에 적발된 약관에는 마땅히 받아야 하는 서비스를 ‘옵션’으로 정해 추가 비용을 내도록 한 조항이 포함됐다. 웨딩드레스를 미리 입어 보려면 피팅비를 내라고 하는 경우가 대표적이다. 드레스를 입어 보지 않고 대여하는 건 사실상 불가능한데도 이를 별도의 유료 옵션으로 정했다.
대행업체들은 스튜디오에서 찍은 사진을 파일로 받을 때도 최소 44만 원의 비용을 물리고 있었다. 점심시간대 예식을 위해서는 아침 일찍 메이크업을 받아야 하는데도 ‘얼리 스타트 비용’이라며 요금을 또 매겼다. 이런 식으로 대행업체가 추가 요금을 받는 옵션은 20∼30여 개나 됐다.
공정위는 사진 파일 구매비, 드레스 피팅비, 메이크업 얼리 스타트비가 기본 제공 서비스에 포함되도록 약관을 고쳤다. 그럼에도 불공정 약관이 계속 사용되면 시정 명령을 거쳐 고발에 나설 방침이다. 추가 요금을 ‘별도’라고만 표기하거나 위약금 세부 기준을 담지 않은 조항, 과도한 위약금을 매기는 조항 등도 시정됐다.
이번 조사는 소비자 피해 사례가 많았던 대형 업체 위주로 이뤄졌다. 조사 대상에 포함되지 않은 업체가 유사한 불공정 약관을 두고 있다면 이 역시 시정할 계획이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