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안 제주항공 여객기 참사]
참여 안한 위원들도 명단 포함돼
참석 여부 묻자 “금시초문” 반응
“충돌 위험에도 부실 운영” 지적
무안국제공항이 올 1월 공시한 ‘조류충돌예방위원회’ 명단에 15년간 활동하지 않은 위원까지 들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참사 열흘 전 열린 위원회에 제주항공이 불참한 것으로 나타난 가운데 ‘버드 스트라이크(조류 충돌)’를 막기 위한 회의가 부실하게 운영되었다는 지적이 나온다.
2일 동아일보 취재를 종합하면 무안공항은 지난해 1월 개정 공항운영규정을 공시했다. 여기에는 공항 내 관계 기관, 취항사, 야생동물 관련 협회 등 위원 명단이 담겼다. 하지만 취재팀이 해당 위원들에게 참여 여부를 확인한 결과 일부 위원들은 위원인 것 자체가 ‘금시초문’이라고 답했다.
위원으로 기재된 대한수렵협회(현 야생생물관리협회) 광주전남지부 관계자는 “우리는 위원이 아니다”라며 “위원으로 참여한 건 약 15년 전 얘기”라고 밝혔다. 이어 “협회 이름도 2012년 ‘야생생물관리협회’로 개칭됐는데 명단에 예전 이름으로 쓰인 것부터 의문”이라고 했다. 역시 위원으로 기재된 중국동방항공 관계자는 “2020년 코로나19 사태 이후 무안공항에 운항을 못 해서 배치한 인력 자체가 없다”며 “임차한 사무실만 유지하고 있을 뿐”이라고 했다.
황호원 한국항공대 항공교통물류학부 교수는 “국제민간항공기구(ICAO) 규정상 각 공항은 운영규정을 따라야 하는데 부실하게 운영돼 온 것”이라고 했다. 위원도 거짓으로 만든 위원회가 규정인들 제대로 운영했을 리 없다는 이야기다.
한편 무안공항 운영사인 한국공항공사는 버드 스트라이크와 관련해 2014년 작성한 캐나다 출장 보고서에서 공항 인력과 장비 부족 문제점을 인지했던 것으로 나타났다. 공사는 인력, 탐지 인프라 등을 배우러 2014년 10월 5박 7일간 캐나다, 미국을 방문해 공항들을 둘러봤다. 공사는 보고서에 ‘밴쿠버 국제공항에서는 항공기-조류 충돌 방지를 위한 조류생태 및 퇴치 전문가 25명 근무’ ‘빅토리아 국제공항 자체 내에서 항공기-조류 충돌을 포함한 공항 안전에 대한 프로그램을 완성’ 등 내용을 담았다. 하지만 10년 뒤 무안 제주항공 참사 당시 무안공항에는 조류 탐지 장비도 없었고 야외 근무자는 1명뿐이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