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개원한 의원급 의료기관이 전년 대비 11.6%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2월부터 시작된 의정 갈등 여파로 다니던 병원을 그만두고 개원가로 뛰어든 의사들이 늘었다는 분석이 나온다.
23일 건강보험심사평가원(심평원)의 의원급 표시과목별 개·폐업 신고 현황에 따르면 지난해 문을 연 의원 수는 1996곳으로 집계됐다. 2023년 1789곳에 비해 207곳(11.6%) 증가한 것이다. 진료과목별로는 수련을 마치지 않고 ‘일반의(GP)’로 표시해 개원한 곳이 759곳으로 전년 대비 94곳(14.1%) 늘었다.
의료계에선 필수과 의사들이 전문의 자격을 내세우지 않고 ‘일반의’ 의원으로 개원한 경우가 적지 않은 것으로 보고 있다. 가령 내과나 마취통증의학과 전문의가 피부 미용 의원을 개원하는 경우 실제 진료과와 전공과목 간 괴리가 발생하기 때문에 차라리 ‘일반의’로 표기해 개원한다는 것이다.
박근태 대한개원의협의회장은 “개원한 일반의 중엔 일부 사직 전공의도 있겠지만, 전문의를 따고 개원해야 경쟁력이 있기 때문에 그 수가 많지는 않을 것”이라며 “오히려 필수과 전문의들이 사법 리스크를 피해 일반의로 개원하는 경우도 있다”고 말했다.
특히 피부 미용 분야는 정부 가격 통제를 받지 않는 비급여 항목이 많아 고수익을 거두는 데 유리하다. 더불어민주당 전진숙 의원이 지난해 7월 심평원에서 받은 자료에 따르면 ‘일반의’로 개설한 의원급 의료기관 중 약 81%가 피부과를 진료과목으로 택한 것으로 나타났다. 수도권 대학병원 3년 차 레지던트는 “소아청소년과를 전공했지만 낮은 수가와 저출산 탓에 진로 변경을 고민하는 선후배들이 많다”며 “수련에 복귀해 소청과 전문의는 따더라도 미용 시술을 배워 개원하는 것도 꺼리지 않는 분위기”라고 말했다.
일반의 외에도 내과 212곳, 정형외과 155곳, 정신건강의학과 110곳, 마취통증의학과 96곳, 이비인후과 91곳이 지난해 개원했다. 지난해 지방 국립대병원을 사직한 한 신장내과 교수는 “진료뿐 아니라 교육과 연구를 병행하는 즐거움에 버텼는데, 이젠 전공의가 없으니 대학병원에 남을 이유가 없어졌다. 지역에 개원을 준비 중”이라고 말했다.
필수과 의사를 육성하기 위해 추진한 정부의 의대 증원이 개원을 부추긴다는 지적도 나온다. 서울의 한 종합병원 전문의는 “6∼10년 뒤에 의사들이 쏟아져 나오면 개원가 경쟁은 더 치열해질 수밖에 없다. 생명과 직결된 필수과 교수직에 미련을 두기보단 늦기 전에 개원을 고려하는 전문의들이 많다”고 말했다.
댓글 2
추천 많은 댓글
2025-02-24 08:35:11
정공의 개원의인지 확인 해야~ 정공의는 개원 못하도록 입법하는 것이 좋겠네요. 괜히 국민 심기 불편하지 않도록,
2025-02-25 00:53:50
정부의 의새죽이기는 진행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