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일 한프레스센터서 서울 중장년 정책 포럼
‘사각지대’ 중장년 재취업 제도 필요성 강조
탄력적 임금·고용으로 맞춤형 일자리 창출
서울시50플러스재단, 올 9월 2차 포럼 개최
“정년 연장이 화두지만 사실 정년 전 조기 퇴직하는 사람이 훨씬 많습니다. 중장년 고용 정책이 필요한 시점입니다.”
6일 강소랑 서울시50플러스재단 정책연구팀장은 동아일보와의 통화에서 이렇게 말했다. 강 팀장은 11일 열리는 ‘2025 서울시 중장년 포럼’에서 ‘초고령 사회, 중장년에 주목해야 하는 이유’를 주제로 발표할 예정이다. 지난해 12월 한국이 인구 20%가 65세 이상 노인인 초고령사회에 진입하면서 정년 연장 등 노인 이후 대책엔 많은 관심이 쏟아지고 있지만, 노년에 이르기 전 중장년층에 대한 논의는 부족한 상황이다.
● 한국인 평균 퇴직 연령 49.4세
이날 서울시50플러스재단은 11일 중구 한국프레스센터에서 ‘서울시 중장년 정책 포럼 2025’를 개최한다고 밝혔다. 서울시50플러스재단은 경력설계, 직업훈련, 취업과 창업 등을 포함한 중장년층의 일자리 지원을 담당하는 서울시 출연기관이다. 현재 서부, 중부, 남부, 북부, 동부 5개 캠퍼스와 동작, 영등포, 노원 등에서 13개 센터가 운영되고 있다.
포럼은 중장년 일자리를 개인의 문제가 아닌 사회 지속가능성과 직결된 문제로 보고, 정년 이후에도 경제활동을 지속할 수 있도록 현실적인 해법을 모색하기 위해 기획됐다. 재단에 따르면 최근 10년간 한국의 퇴직 연령은 49.4세로 법정 정년인 60세에 비해 10년 가까이 빠르다. 이들 중 향후 재취업을 하겠다 응답한 비율은 46%로, 취업 희망 사유는 생활비 부족이 가장 큰 것으로 파악됐다. 강 팀장은 “재고용 정책들이 주로 법정 정년 이후를 타겟팅하다보니 현실에서 중장년층은 그야말로 사회 안전망 밖 사각지대에 있는 상황”이라며 “이런 중장년층이 점차 늘어나는 만큼 복지가 아닌 경제 활성화라는 투자의 관점에서 중장년 고용 제도를 바라보아야 한다”라고 말했다.
특히 중장년층의 일자리 창출 논의를 위해서 탄력적인 직무임금 체계, 고용형태 등 맞춤형 일자리 모델이 정립되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중장년층은 풍부한 현장 직무 경험을 가지고 있으면서도 유연한 근로 형태를 선호하는 경우가 많다”고 설명했다.
● 재단, 9월 중 2차 포럼 개최
포럼에서는 ‘초고령사회, 왜 중장년에게 주목해야 하는가’ ‘서울은 중장년을 준비하고 있는가’ 등의 세션이 진행된다. 전영수 한양대 국제대학원 교수는 포럼 기조연설에서 중장년 정책이 복지 중심에서 벗어나 경제 정책으로 융합되는 ‘웰페어노믹스’가 되어야 한다는 내용을 설명할 예정이다. 웰페어노믹스는 복지를 뜻하는 ‘웰페어(Welfare)’와 경제를 뜻하는 ‘이코노믹스(Economics)’가 결합된 신조어다.
이번 포럼은 온오프라인으로 동시에 열린다. 온라인 참석을 원하는 시민은 10일까지 재단 홈페이지(50plus.or.kr)에서 신청하면 된다. 재단 유튜브 채널에서도 실시간 시청할 수 있다. 포럼 당일 현장 신청도 가능하다.
9월 23일에는 2차 포럼도 진행된다. 2차 포럼에서는 중장년 일자리 정책의 구체적인 실행 전략과 과제를 제시할 예정이다. 특히 일자리 지원 방안을 마련해 실질적인 변화를 이끌어내는데 초점을 둔다. 자세한 내용은 9월 초 50플러스포털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강명 서울시50플러스재단 대표이사는 “이번 포럼을 통해 서울시가 선제적으로 지속 가능한 일자리 모델을 구축하고, 중장년 일자리 정책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확산하는 데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말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