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가 지난해 6월 시작한 ‘중소기업 워라밸 포인트제’에 400개가 넘는 중소기업이 동참했다고 13일 밝혔다.
중소기업 워라밸 포인트제는 저출생 극복을 위한 ‘탄생응원 서울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중소기업들이 양육 친화 기업 문화 확산과 일·생활 균형에 앞장서도록 독려하는 제도다. 출산·양육과 관련된 중소기업의 어떤 시도와 노력이라도 인정해 혜택을 제공한다. 사유나 결재 없는 연차 사용, 격주 주 4일제, 재택근무 장려 등 제도가 무엇이든 점수를 받을 수 있다. 결혼·출산·양육 직원이 많을수록 더 많은 점수를 받는다.
시에 따르면 지난해 3차례에 걸쳐 중소기업을 모집한 결과 408개 기업이 선정됐다. 정보기술(IT), 제조업, 건설업 등 여러 업종에서 100인 이상 기업부터 5인 미만이 근무하는 소기업까지 규모도 다양했다. 등급별로는 진입형(100∼499점)이 338곳으로 가장 많았고, 성장형(500∼999점)이 56곳, 선도형(1000점 이상) 14곳 순이었다. 업종별로는 정보통신업(30.4%)과 전문·과학·기술서비스업(20.6%), 제조업(19.4%) 등의 순이었다. 도소매업, 교육서비스업, 건설업 등도 있었다.
시는 올해부터 △육아휴직 대체 인력 근로자 지원 △육아휴직 동료응원수당 △서울형 출산휴가 급여 지원 등 ‘육아 지원 인센티브 3종’을 제공한다. 진입형 이상인 기업 노동자라면 혜택을 받을 수 있다. 기업이 육아휴직 대체 인력에게 지급하는 급여에 더해 시가 추가로 월 20만 원 수당을 최장 6개월간 지급한다. 14일 이상 공고했음에도 채용이 어려우면 고용노동부 ‘육아휴직 업무 분담 지원금’과 별도로 업무 분담자에게 월 10만 원 수당을 최대 1년 지급한다. 출산휴가 마지막 30일엔 통상임금에서 정부 지원금(210만 원)을 제외한 출산휴가 급여를 최대 90만 원까지 지원한다. 김선순 서울시 여성가족실장은 “사업이 본궤도에 오르는 올해 아이 키우기 좋은 기업으로 성장하기를 희망하는 뜻있는 기업들이 많이 참여해 주시기를 바란다”고 밝혔다.
댓글 1
추천 많은 댓글
2025-03-17 16:28:42
우리나라 출산율을 높이기 위해 이러한 제도가 더욱 많아지면 좋겠습니다. 여성으로써 아이를 낳고 키우는 것을 회사에서 눈치를 보지 않고 직장에서의 일과 가정에서의 양육 두마리 토끼를 모두 잡을 수 있도록 도와준다면 우리나가 국가 경쟁력도 높아질 것 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