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 감독과 코치를 제외한 교직원으로 구성된 ‘체육특기자 선발위원회’를 구성해 객관적인 기준과 자료를 토대로 선수를 선발하라는 게 공문의 내용.
한명의 우수선수에 4,5명의 ‘평범한 선수’가 ‘패키지’로 대학에 스카우트되고 이들이 기부금을 부담한다는 게 교육부가 파악한 체육계의 잘못된 관행.
그러나 이같은 개선책이 농구에서는 통하지 않을 것 같다. 대학측이 참고할 수 있는 선수 개인기록이 없기 때문이다.
올해 전국규모의 고교농구대회는 두번 있었으나 공식기록원을 두지 않아 득점과 출전시간을 제외하고 개인능력평가에 중요한 리바운드 어시스트 등 기본적 항목에 대한 기록이 없다. 중고농구연맹은 12일부터 시작되는 연맹회장기대회에도 역시 공식기록원을 두지 않을 예정이다.
이유는 연맹에 돈이 없다는 것. 연맹은 대학들이 기록의 필요성을 상기시키자 ‘필요한 쪽에서 비용을 대라’고 했다는 후문이다.
한편 중고연맹은 올해부터 예년에 없던 대회출전비를 받고 있다. 사정이 어렵기 마찬가지인 일부 중고교에서는 대회참가비용을 학부모에게 전가시키고 있다. 급기야 대한농구협회는 각급학교 농구팀에 학부모로부터 금품갹출을 하지 말라는 공문을 보내기도 했다. 보통 한 대회 공식기록원 비용은 3백만원 안쪽.
한명당 수천만원이 오가는 입시비리를 방지해보자고 시작한 새로운 제도가 이상한 방향으로 꼬이고 있다.
〈전 창기자〉jeon@donga.com
구독
구독
구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