플레이를 하면서 무엇보다 똑바로 치는 게 중요하다.
하지만 상황에 따라 페이드나 드로를 의도적으로 구사해 위험요소를 피해야 될 때도 있다. 티샷을 할 때 실수해서 볼이 페어웨이 양끝으로 갔다든지 골프장 설계자의 의도로 볼이 페어웨이에는 있지만 중간에 나무와 같은 장애물에 걸리는 경우다.
페이드샷이나 드로샷을 구사할 때 가장 중요한 것은 스탠스다. 스탠스의 방향을 따라 스윙해야 하기 때문이다. 대체로 페이드샷을 할 때는 오픈 스탠스로 서고 드로샷은 클로즈드 스탠스로 선다. 그리고 스탠스 선에 맞춰 스윙을 하면 페이드샷은 바깥에서 안쪽으로, 드로샷은 안쪽에서 바깥쪽으로 스윙하게 된다. 임팩트 때 클럽 페이스는 항상 목표에 직각인 상태를 유지해야 한다. 이 방법대로 스윙을 한다면 볼은 처음에는 스탠스의 방향대로 날아가다 정점에서 서서히 오른쪽 또는 왼쪽으로 휘어지면서 목표에 접근하게 된다.
휘어지는 정도를 약하게 하고 싶으면 스탠스를 열고 닫는 정도를 작게 하면 된다. 또 휘어지는 정도가 많기를 원하면 스탠스를 많이 열고 닫으면 된다.
간혹 이 샷이 잘 먹히지 않는다는 골퍼가 있는데 두 가지 이유 때문에 그렇다.
첫째는 스탠스대로 스윙을 하지 못한 탓이다. 대체로 스탠스의 편차를 적게 했을 때는 잘되다가도 스탠스의 열고 닫는 정도를 크게 한 경우 잘되지 않는 골퍼가 여기에 해당한다. 여닫는 정도가 크면 클수록 스윙의 느낌은 비정상적이라고 생각될 만큼 변한다. 따라서 이런 스윙에 익숙하지 않은 골퍼는 스탠스의 변화에 스윙 궤도를 맞추지 못하기 때문에 원하는 정도의 드로샷이나 페이드샷을 구사할 수 없는 것이다. 대체로 드로나 페이드샷을 구사할 때는 목표에서 5야드 이상은 하지 않는 것이 성공률이 높다.
두 번째는 스윙 스피드가 따르지 않아서다. 대체로 힘이 없는 골퍼에게서 많이 볼 수 있는 현상이다. 이 샷은 사이드 스핀이 필요한 샷인데 힘이 없으면 원하는 만큼의 사이드 스핀이 걸리지 않아 볼은 똑바로만 날아가는 경향이 있다.
―샌디에이고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