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도착 첫날인 11일 도쿄돔 훈련이 무산됐기에 SK에게 시간은 12일 단 하루뿐이다. 작년에 SK가 집중 실시했던 훈련, 그리고 2년째 참가하는 선수들의 발언을 종합하면 아시아시리즈의 외부변수는 크게 3가지, 도쿄돔의 타자친화성-돔 지붕-아시아시리즈 공인구의 반발력을 꼽을 수 있다.
○도쿄돔 효과
주니치 타이론 우즈는 2007년 요미우리와 클라이맥스시리즈를 앞두고 “도쿄돔은 좁은 구장이니까 힘을 절반만 써도 홈런을 쳐낼 수 있다”라고 호언한 바 있다. 우즈의 오만이겠지만 타자친화적인 도쿄돔의 일면을 보여주는 일화다.
실제로 도쿄돔은 홈런 등 장타가 잘 쏟아지는 것으로 정평이 나 있다. SK 선수들, 특히 외야진은 이를 머릿속에 넣고 있다. 넓은 수비 범위와 강견이 장점인 중견수 김강민은 “도쿄돔 잔디는 인조잔디라도 한국보다 플레이하기 훨씬 좋다. 그러나 외야펜스가 높은데다 장타가 잘 터지는 점은 부담스럽다”고 언급했다. 김강민은 “펜스수비는 (펜스가 높은) 사직구장을 생각하고 해야 될 것 같다”고 덧붙였다.
○플라이볼 경계령
작년 아시아시리즈 주니치전 바로 전날 실시된 적응훈련에서 SK 후쿠하라 코치는 야수들을 세워놓고 거듭 타구를 퍼 올렸다. 내,외야수들에게 일부러 플라이볼 잡는 반복훈련을 시킨 것이다. 프로 선수들에게 이런 기본적 플레이를 강조한 데엔 도쿄돔의 천장이 염려됐기 때문이었다. 도쿄돔 천장은 하얀색이어서 자칫 공과 겹쳐질 수 있고, 돌이킬 수 없는 대형 실책이 터질 소지를 미연에 방지하겠단 의도였다. 내, 외야 디펜스가 탄탄한 SK이지만 플라이볼은 ‘도쿄돔 핸디캡’이 아닐 수 없다.
○아시아시리즈 공인구&공중전
아시아시리즈 공인구는 한국에서 쓰던 볼과 비교할 때 큰 차이는 없지만 반발력이 더 좋다는 평가다. 투수도 던지기 쉽지만 한 번 맞으면 뻗어나갈 위험성도 증가한다. 더구나 최대라이벌 세이부는 정규시즌 198홈런으로 일본 12개 구단 중 최다홈런을 터뜨린 팀이다.
그러나 13일 세이부전 선발로 내정된 김광현은 부담보단 자신감을 내비쳤다. “이런 단판승부, 큰 경기는 투수전이 될 것”이라고 예견했다. 실제 김광현이 쾌조의 초반 구위를 보여준다면 일본시리즈처럼 세이부가 스몰볼을 불사할 가능성도 짙다.
도쿄 | 김영준 기자 gatzby@donga.com
[관련기사] ‘싸늘한 신경전’ SK 김성근 감독 vs 세이부 와타나베 감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