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늘길따라 3시간…가을이 불타고 있네
겸재 정선(1676∼1759)은 평생 북악산자락 육상궁 뒷담 쪽(현재 종로구 궁정동 칠궁 담장 너머)에서 인왕산을 마주보며 살았다. 이웃엔 천재 시인으로 이름을 날리던 소꿉친구 이병연(1671∼1751)이 있었다. 그들은 같은 스승 김창흡 밑에서 배웠고, 일생 동안 살가운 동무로 살았다. 나이 다섯 살 차는 전혀 문제될 것 없었다. 이병연이 시를 써서 보내면 정선은 그림으로 답했다. 시 속에 그림이 있고, 그림 속에 시가 있었다. 그림이 가면 곧바로 시가 왔다.
정선의 나이 일흔다섯 여름날, 여든 노인 이병연은 앓아누워 죽음을 기다리고 있었다. 하늘에선 한달 내내 장대비가 쏟아졌다. 정선은 가슴이 아팠다. 어느 날 문득 비가 그치더니 하늘이 맑게 개기 시작했다. 물먹은 인왕산이 말갛게 다가왔다.
정선은 미친 듯이 그 모습을 화폭에 담기 시작했다. 우뚝우뚝 솟은 바위 덩어리, 막 피어오르는 물안개, 물에 흠뻑 젖은 소나무들. 바위를 타고 콸콸 쏟아져 내리는 물. 그의 ‘인왕제색도’(국보 216호)는 ‘꿈틀거리는 생명의 기운’으로 가득하다. 아래쪽엔 이병연의 단아한 집도 한자리를 차지하고 있다. 마지막 가는 친구를 위해 혼신을 다해 그린 그림. 친구의 생명 줄이 조금이라도 더 이어지기를 바라는 마음. 하지만 이병연은 그 나흘 뒤에 죽었고, 정선은 그 뒤로 9년을 더 살았다.
● 북악산-인왕산-남산-낙산은 한양도성의 속꽃
인왕산과 북악산이 발그레 물들었다. 인왕산은 산허리 아래 연지곤지 찍듯 듬성듬성 붉다. 울끈불끈한 바위들과 허리를 뒤틀고 있는 늙은 소나무들이 붉은 색과 어우러져 섹시하다. 범바위 너머 말안장을 닮은 안산(해발 296m)과 서대문구 홍제동 쪽은 봉숭아물처럼 붉은 물이 번졌다. 인왕산 꼭대기에서 북악산을 바라보면 오른편 청와대 쪽은 노랗게 타오르고, 왼쪽 부암동 등허리는 빨간 숯불이 달아오른다. 단아하고 깨끗하다. 비 온 뒤 아기단풍처럼 곱고 품격이 있다. 볼수록 황홀하다.
인왕산 길은 활터인 황학정에서부터 시작된다. 황학정은 원래 경희궁 터에 있었지만 일제강점기 일본인들이 현재 터로 옮겼다. 산을 오르다 보면 곳곳에 바위틈에서 물이 솟아나는 약수터가 있다. 인왕산약수터, 무악약수터, 인왕천약수터, 석굴암약수터, 버드나무약수터, 부암약수터, 돌산약수터…. 달고 시원하다. 꼭대기엔 팥배나무가 붉은 열매를 달고 있다.
한양도성의 성곽은 인왕산 정상을 동서로 가른다. 무악동 홍제동은 한 뼘 차로 도성 밖이다. 황학정∼인왕산 정상∼창의문(자하문)에 이르는 길은 어느 코스를 택하든 1시간이면 충분하다. 점심 먹고 산책삼아 훠이훠이 가도 금방이다.
서울은 겹꽃이다. 경복궁은 그 한가운데 꽃 수술이다. 겉꽃은 시계 반대방향으로 삼각산(북)-덕양산(행주산성·서)-관악산(남)-용마산(동)이고, 속꽃은 북악산(북·342m)-인왕산(서·338m)-남산(남·262m)-낙산(동·125m)이다. 한양도성은 속꽃을 따라 쌓은 서울 성곽으로 둘러싸였다. 길이 약 18.2km.
한양도성 바로 뒤에 있는 북한산성 둘레는 총 12.7km. 병자호란 때 인조가 들어가 잠시 버텼던 남한산성은 7km 남짓(외성·옹성 포함 11.76km)으로 수원화성 5.7km보다 약간 길다. 성안 넓이는 한양도성 7.66km²(약 232만 평), 북한산성 6.6km²(약 200만 평). 남한산성은 본성 안쪽 면적이 2.32km²(70여만 평)로 여의도(약 89만 평)보다 약간 작다.
북악산은 경복궁과 청와대를 품고 있다. 북악 하늘길(스카이웨이)은 북악산 등 뒤를 휘감으며 돌아나간다. 북악산 산책길은 인왕산길이 끝나는 창의문(자하문)에서부터 하늘길을 따라 성북구 정릉까지 이어져 있다. 6.2km 2시간 거리. 황학정에서 출발, 인왕산 정상을 거쳐도 3시간 남짓이면 충분하다.
북안산길을 따라가다 보면 왼쪽으로는 북한산 보현봉 자락을, 오른쪽으로는 붉게 타오른 북악산 단풍 속살을 볼 수 있다. 갈색으로 물든 참나무들이 묵묵히 밑그림이 돼 준다. 자동차 오가는 소리가 약간 거슬리지만 통행량이 그다지 많지 않다. 바스락바스락 마른 나뭇잎 즈려밟는 소리가 간지럽다. 구름 밟는 듯하다. 늙은 감나무에 붉은 홍시가 주렁주렁 달려있다.
● 서울성곽길 오전 10시∼오후 3시 탐방 신청해야
북악산 서울성곽길(와룡공원∼숙정문∼백악마루∼창의문) 4.3km는 탐방 신청을 해야 한다. 각각 말바위, 창의문, 홍련사 쉼터에서 출입신청서를 작성해 주민등록증과 함께 제출하면 된다. 동절기(11∼3월)엔 오전 10시부터 오후 3시까지 입장 가능하다. 매주 월요일(월요일이 공휴일일 땐 화요일)은 쉰다. 창의문∼백악마루 구간은 급경사 계단이어서 노약자는 오르기 어렵다. 말바위나 홍련사 쪽에서 출발하는 게 한결 쉽다.
서울 성곽길에선 광화문 등 서울 도심이 한눈에 보인다. 청와대 앞쪽 노랗게 물든 은행나무들이 우아하다. 노란 부채가 활짝 활짝 펼쳐져 있다.
북악산길이 시작하는 부암동은 서울 속 산촌이다. 백석동천으로 이어지는 산길도 호젓하다. 환기미술관 등 볼거리도 있고, 맛있는 음식점도 많다. 점심시간 산책길로는 안성맞춤이다.
설악산에 눈꽃이 피었다. 하지만 서울은 노릇노릇 잘 구워진 생선처럼, 단풍이 익어 가고 있다. 덕수궁 정동길은 바람이 불 때마다 은행잎이 우수수 쏟아진다. 남산은 울긋불긋 고깔모자를 썼다. 경희궁 뒤 숲도 혼자 발그레하다.
겨울의 문턱. 내장산 백양사 단풍이 좋다지만 서울 주위 산들의 단풍도 그에 못지않다. 늘 바쁜 척하는 서울사람들의 눈에 띄지 않을 뿐이다. 그중에서도 북악산 단풍은 으뜸이다. 인왕산 단풍은 바위 사이에 물든 수묵화다.
올해 단풍은 색깔이 예년보다 선명하지 못하다. 설악산 오대산 단풍은 이미 져버렸다. 소요산 단풍도 옅어졌다. 단풍 남하 속도는 하루 25km. 시속 1km 빠르기로 울긋불긋 떼지어 내려오고 있다. 봄꽃 북상 속도는 하루 20km. 봄은 늘 엉금엉금 기어오고 가을은 문득 왔다가 쏜살같이 달아난다. 인생도 그렇다. 나뭇잎은 울긋불긋 물들고, 사람들 마음은 빈들이 되어 적막강산이다.
김화성 스포츠전문기자 mars@donga.com
|여행정보|
◇가는 길 ▽황학정=서울 지하철 3호선 경복궁역 1번 출구로 나와 사직단 오른쪽 샛길을 따라가면 나온다. ▽말바위 쉼터=지하철 3호선 안국역 2번 출구로 나와 02번 마을버스를 타고 성균관대 후문 하차. 산책로를 따라가면 와룡공원에 이어 북악산 입구인 말바위 쉼터가 나온다.
◇삼청동 맛집 ▲한정식 큰 기와집(02-722-9024) ▲뚝배기 라면 라면 땡기는 날(02-733-3330) ▲와인 스파게티 수와래(02-739-2122) ▲홍합밥 정식 청수정(02-738-8288) ▲삼청동수제비(02-735-2965) ▲검은콩수제비(02-733-3535) ▲평양식 만두 다락정(02-725-1697) ▲김치말이국수 눈나무 집(02-739-6742)
▼ 부암동 백사실계곡은 서울의 비밀정원▼
마을 입구에서 능금나무길을 따라가다 보면 ‘백석동천(白石洞天)’과 ‘월암(月巖)’이라고 새겨진 큰 바위 두 개를 만날 수 있다. 백석은 흰 돌이 많아 붙여진 것이고, 동천은 ‘신선이 노닐 정도로 아름다운 곳’을 일컫는다. 부근엔 백사(白沙) 이항복의 별장이 있던 곳으로 추정(?)되는 터가 있다. 정자 주춧돌과 수백 년 된 늙은 느티나무, 그리고 연못이 남아 있다. 백석동천에서 개울 옆 오솔길이 백사실(白沙室)길이고, 계속 가다 보면 뒷골이 나온다.
부암동주민센터 뒤편엔 안평대군이 지었다는 무계정사(武溪精舍) 터가 있다. 안평대군은 꿈 속에서 무릉도원을 보고 그것을 본떠 지었다고 한다. 무계정사 바로 아래엔 소설가 빙허 현진건 선생의 집터도 있다.
구독
구독
구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