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에서는 지난해 타율(.357), 최다안타(168), 출루율(.454)로 주로 안타로 만들어낼 수 있는 부문을 휩쓸며 타격 3관왕을 거두었던 김현수가 홈런 타자로 크고 싶다는 의견을 밝혀 모두를 놀랍게 했다. 지금 가진 재능만으로도 이미 국내 정상급 타자임에도 타율을 줄여서라도 홈런을 더 치고 싶다는 그의 의지는 컨트롤만으로 리그를 평정한 투수가 더 빠른 볼을 던져 볼넷이 늘어나더라도 탈삼진을 늘리고 싶다는 말처럼 센세이션 했다. 나아가 지난해에는 9개에 그쳤지만, 일단 2009 시즌에 15개 정도의 홈런을 치고 점점 늘려 결과적으로는 타율이 2할 8푼 정도로 줄어들더라도 30~40홈런을 치는 타자가 되고 싶다고 매우 구체적으로 밝혔다.
결코 적은 홈런 숫자 때문에 MVP 투표를 적게 받은 어리광이 아니란 뜻이었다.
어떤 김현수가 더 가치가 있느냐는 논란을 떠나 팀에서 이에 대해 별 얘기가 없는 걸 보아 일단은 그의 결정을 존중하겠다는 뜻으로 보인다. 그리고 어느 정도는 김경문 감독도 바라는 바이기도 했다.
실제로 30~40홈런을 치는 타자가 될 수 있겠느냐, 잠실을 홈구장으로 쓴다는 불리한 점에 대한 극복 등은 일단 뒤로 미루더라도 김현수의 도전은 야구 판에서 흥미로운 구경거리가 될 것이다. 이치로의 발언을 굳이 따지지 않더라도 김현수가 이제 스물을 갓 지난 젊은 선수라는 점을 감안한다면 앞으로 그가 깨고 나올 수 있는 새로운 껍질은 무궁무진 하다.
다만 변화의 과정에서 찾아올 심리적, 기술적 불안감을 어떻게 극복할지는 숙제가 될 것이다. 야구 선수의 스윙이 게임에서 다루 듯 컨텍을 몇%로, 파워를 몇%로 수치화 하여 클릭 하나로 바꿀 수 있는 게 아니다보니 타율 감소를 감수하고서라도 하겠다는 입장을 밝혔음에도 실제로 언젠가 찾아올 슬럼프나 결정적인 공격이 필요한 상황에서도 감각을 잃지 않고 그가 스스로 만든 스윙 매커니즘에서 벗어나지 않고 공략을 할 수 있겠느냐가 가장 큰 과제이다. 안타를 치려는 건지, 홈런을 치려는 건지 혼란스러운 공격을 한다면 단기 타격 페이스 저하가 장기 슬럼프로 빠져들 우려를 씻을 수 없다.
그런 점에서 그의 의지나 뚜렷한 목표설정은 매우 높이 살 만하다. 이치로처럼 막연한 가능성을 이야기하고 끝나는 게 아니라 실제적으로 올해 몇 개를 때리고 다음해에 또 몇 개를 더하고 타율 감소도 감수하겠다는 굳은 자세는 그의 변신을 더욱 더 기대하게 한다.
꼭 그게 수치상으로 몇 개를 더 치는 게 아니더라도 상대팀 감독들은 그의 장타력 상승만으로 충분히 큰 위협을 느끼게 될 것이다. 삼성의 박진만이 김현수의 안타를 깨는 훌륭한 수비위치를 찾았지만, 펜스를 넘기는 타구는 그 어떤 시프트로도 잡아낼 수 없게 마련이다.
-엠엘비파크 유재근 기자
[관련기사]“신고선수 김현수 직접 훈련시켜…그때 대어 냄새가 났지요”
[관련기사]‘타격 3관왕’ 김현수, 1억2600만원에 재계약…200%↑
[관련기사]김현수 “킬러 광현이 미워 ” vs 김광현 “삼진 안 당한 현수형 더 미워”
[관련기사]“WBC 전승 우승” 김현수·김광현 타도재팬 의기투합
[관련기사]‘쉼표’는 없다…연습벌레 김현수 시즌같은 비시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