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지만 지친다고 그대로 주저앉을 수는 없다. 목표가 있기 때문이다. 여기서 멈칫하는 것은 월드컵 출전을 포기하는 몸짓이다.
남아공 전지훈련에 참가한 선수는 25명. 이중 골키퍼 3명을 제외하면 22명이다. 이들 중 월드컵 엔트리에 포함될 가능성은 8~10명 선. 그래서 피가 마른다. 심장이 터질 것 같은 고지대의 힘든 훈련도 달게 삼킨다.
월드컵 출전의 꿈을 이루기 위해선 경쟁은 불가피하다. 그래서 희비는 엇갈리기 마련이다. 그 키는 허정무 감독이 쥐고 있다. 과연 허 감독은 어떤 기준을 갖고 있을까. 허심(許心)의 3가지 키워드를 풀어본다.
●헌신
2002년 월드컵에서 채 1분도 뛰지 못한 한국 선수는 모두 5명. 하지만 이들은 불만을 드러내지 않았다. 대신 경기를 뛰고 나온 동료들에게 수건을 건넸다. 등을 토닥이고 격려를 아끼지 않았다. 그래서 4강 신화가 가능했다. 허 감독은 이런 마음의 자세를 중요시 한다.
어차피 여기서 살아남는 선수들도 몇몇 수비수를 제외하고는 대부분 백업요원이다. 팀에 녹아들지 못한 채 벤치에서 불만을 표출할 선수라면 애당초 탈락시키는 게 낫다는 생각이다. 팀을 위한 적극성과 헌신성, 이 2가지가 옥석 가리기의 중요한 잣대다.
●체력
상대는 모두 강팀이다. 그리스, 아르헨티나, 나이지리아 그 어떤 팀도 쉽게 볼 수 없다. 그래서 이들과 맞붙어 쓰러지지 않고 강한 압박을 할 수 있는 체력이 중요하다. 특히 고지대 경기가 있기 때문에 열악한 환경 속에서도 지치지 않고 뛸 수 있는 선수가 필요하다.
허 감독이 “고지대에 강한 선수를 뽑겠다”고 한 이유가 여기에 있다. 체력은 곧 자신감과 직결되는 중요한 요소다. 아울러 많이 뛴다는 것은 동료에게 피해를 주지 않는 것을 의미한다. 진정한 팀플레이다.
‘산소 탱크’ 박지성이 팀플레이의 최고봉으로 꼽히는 이유다. 새로운 공인구 자블라니는 더욱 더 공격 지향적이어서 더 많은 체력이 요구되는 점도 빼놓을 수 없다.
●성장
멈춰 버린 선수를 선택할 감독은 없다. 특히 허 감독의 스타일은 조금씩이라도 발전된 모습을 보이는 선수에게 더 애정을 갖는다.
훈련장에서 허 감독은 많은 주문을 한다. 이를 잘 받아들이고 빠른 적응을 보이는 선수인지, 아닌 지를 구분하는 작업을 하고 있다. 제대로 받아들일 때 성장 가능성이 높다고 보는 것이다. 명성이나 신참 고참 구분을 두지 않겠다는 것은 허 감독의 지론이다. 오직 경쟁을 통해 발전하는 선수를 선택하겠다는 의지의 표현이다.
비슷한 실력을 가진 선수들 사이에서 특출해야만 허 감독이 말한 ‘흙속의 진주’가 될 수 있다. 허 감독은 2월 동아시아대회까지 모든 선수를 관찰할 예정이다. 1개월 정도 남은 기간 동안 과연 누가 허심을 사로잡을까.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