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판타지와 감성의 뛰어난 이중주를 선보이는 ‘늑대아이’. 미디어데이 제공지난 4년간 피보다 진한 땀을 흘렸다. ‘태극마크를 달았다’는 자부심으로 버텼다. 그러나 올림픽 시상대에는 오르지 못했다. 그들은 노메달리스트다. 한국이 런던 올림픽(7월 27일∼8월 12일)에서 종합 5위(금 13, 은 8, 동메달 7개)에 올랐지만 그들은 조용히 귀국했다. 끝까지 최선을 다했던 그들, 노메달리스트들의 못다 한 이야기를 소개한다.》 ‘아이를 갖고 싶었다. 내 나이 서른다섯. 결혼(2007년 6월)한 지 5년째. 그래도 참아야 했다. 올림픽 메달이 필요했다. 나를 대신할 후배가 없었다. 나이가 들어서도 라켓을 들어야만 했다. 나 자신과의 싸움에서 승자로 남길 바랐다. 그 소망은 이뤄지지 않았다. 런던 올림픽 여자 탁구 단체전 4위. 메달도 박수도 없었다. 억울했다. 남편을 홀로 남겨둔 채 태릉선수촌에서 살다시피 했던 나날들. 이대로 대표팀 유니폼을 벗는다는 게 속상했다. 지난 4년간 흘렸던 땀과 눈물은 신기루처럼 사라졌다. 경기가 끝난 뒤 무대 뒤편으로 걸어 나오며 절대 울지 않겠다고 다짐했다. 취재진이 나를 향해 “고생했다”고 위로했다. 가슴이 울컥했다. 스스로에 대한 자책과 후배에 대한 미안함이 교차했다. 나의 마지막 올림픽은 그렇게 막을 내렸다.’
여자 탁구의 ‘맏언니’ 김경아(35)는 런던 올림픽 여자 탁구 단체전 3, 4위전에서 싱가포르에 0-3으로 진 뒤 서럽게 울었다. 경기 직후 불 꺼진 믹스트존(공동취재구역)에서 인터뷰를 하면서 하염없이 눈물을 흘렸다. 이를 지켜보던 현정화 총감독도 끝내는 울음을 터뜨렸다. 평소 냉정하기로 소문난 그의 눈물은 의외였다. 현 감독은 울먹이며 이렇게 말했다. “몇 번이나 ‘힘들어 그만두고 싶다’는 걸 다독이며 여기까지 왔다. 끝까지 최선을 다해준 경아가 눈물을 흘리니 나도 가슴 아팠다.”
현 감독과 김경아는 이날 술잔을 기울이며 밤을 지새웠다. 스승은 마지막까지 대표팀을 이끌어준 노장에게 각별한 고마움을 전했다. 현 감독은 미국 로스앤젤레스로 어학연수를 떠나며 김경아에게 “이제는 세 식구로 놀러오라”고 했다. 남편 그리고 2세와 함께 오라는 얘기였다.
김경아는 올림픽 폐막을 이틀 앞두고 조용히 인천행 비행기에 올랐다. 쓸쓸한 귀국길이었다. 그런 그를 27일 서울에서 다시 만났다. 그는 “귀국해서도 한동안 공황 상태였다”고 했다. 메달을 따지 못한 허전함은 채워지지 않았다. 일주일을 멍하니 보낸 뒤에야 앞이 보이기 시작했다. 내가 못 이룬 꿈을 후배를 가르쳐 다시 키워 보자고 다짐했다.
김경아는 “메달을 못 딴 것보다 나 자신을 이기지 못한 게 아쉬웠다”고 했다. 그도 그럴 것이 올해 초 국제탁구연맹(ITTF) 오픈 대회에서 3차례나 우승했다. 연습한 대로만 하면 금메달도 노려볼 만하다는 자신감을 얻었다.
그런데 정작 런던 올림픽에선 몸이 무거웠다. 여자 단식에선 8강에, 단체전에선 4위에 머물렀다. 주무기인 커트 수비도 날카로움이 떨어졌다. “문제는 내 조급한 마음에 있었다. 예선에서 하루 한 경기만 하다 보니 불안했다. 여가 시간에 휴식 대신 러닝을 하고 웨이트 훈련을 한 게 오히려 독이 됐다. 오버페이스가 경기력 저하로 이어졌다.”
하지만 이미 지나간 일이다. 김경아는 대표팀 유니폼을 벗은 대신 지도자로 나서기로 했다. 소속팀인 대한항공 코치를 맡는 것이다. 그는 “아이를 가지면 선수생활은 자연히 못한다. 나와 같은 스타일인 수비 전형 선수를 가르치는 코치가 되고 싶다”고 말했다.
김경아는 초등학교 2학년 때 취미로 탁구를 시작했다. 그 인연으로 27년간 탁구만 생각하며 살았다. 2002년 부산 아시아경기 직후 도쿄 오픈에서 우승하며 태극마크를 달았다. 2004년 아테네 올림픽 여자 단식 동메달, 2008년 베이징 올림픽 단체전 동메달을 목에 걸었다. 런던에서 유종의 미를 거두지 못했을 뿐이다.
김경아는 “탁구 선수로 후회 없는 삶이었다”고 회상했다. 그는 10년 뒤 자신의 모습을 어떻게 그리고 있을까. “올림픽 여자 탁구 대표팀 코치로 못다 한 금메달 꿈을 이루고 싶다”는 답이 돌아왔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