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으로 본 야구] 알고도 못치는 ‘리베라 커터’의 비밀

  • Array
  • 입력 2013년 8월 30일 07시 00분


<그림1> 커터의 고속카메라 분석개요(사진 왼쪽), <그림2> 뉴욕대학교 Movoment Lab.의 2009년 리베라 커터 피칭 분석영상(youtube 영상 발췌)
<그림1> 커터의 고속카메라 분석개요(사진 왼쪽), <그림2> 뉴욕대학교 Movoment Lab.의 2009년 리베라 커터 피칭 분석영상(youtube 영상 발췌)
■ 스포츠동아·국민체육진흥공단 체육과학연구원 공동기획

고속카메라 분석의 기술력


1. 직구와 거의 비슷한 속도·유사한 궤적
2. 타자 3∼5m 앞에서 종횡으로 급 변화
3. 1년 통계자료 확인 결과 제구력도 일품

고속카메라, 판정·투구분석 등 활용도 커


현대의 스포츠 경기는 점점 더 과학기술의 사용을 늘려가고 있다. 특히 날아가는 총알의 움직임까지도 잡아낼 수 있는 초고속카메라 기술은 보통사람의 눈으로는 쫓을 수 없는 스포츠의 움직임을 분석하는 데 큰 도움이 되고 있다. 예를 들어 2006년 US오픈테니스대회부터 사용되고 있는 호크아이 볼 추적시스템, 2014년 브라질월드컵부터 도입되는 골 컨트롤 득점판정기 등과 같은 판정보조시스템, 골프공의 임팩트분석기 및 셔틀콕의 속도·궤적측정기 등의 기술분석시스템, 육상의 기록측정시스템 등에서처럼 다양한 고속카메라 기술이 응용되고 있다. 야구경기의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다양한 응용기술들이 사용되고 있는데, 이 중 판정 및 구종 분석의 사용 예를 살펴보겠다.

● 첫째=판정 사용의 예

한국프로야구에선 홈런 판정을 위해 비디오 판독을 사용하고 있고, 메이저리그에선 2014년 시즌부터 주심의 스트라이크존 판정을 제외한 누상의 상황에 대해 5회까지 1번, 5회 이후 2번 등 총 3번의 비디오 판독(오심으로 인정 시 요청 기회 보존)을 요청할 수 있도록 할 예정이다.

● 둘째=투구 분석 사용의 예

올 시즌 후 은퇴하는 메이저리그 역사상 최고의 마무리투수 마리아노 리베라(뉴욕 양키스)는 패스트볼 3종 세트(포심+투심 약 18%% 이하, 커터 82%% 이상·2000년대 후반)로 29일(한국시간) 현재 개인통산 646세이브를 기록 중인데, “왜 타자는 리베라가 커터를 던질 것을 알고 있으면서도 그 공을 공략하지 못하는 것일까”라는 의문이 있을 수 있다. ESPN이나 뉴욕대학교 운동(Movement) 연구실의 고속카메라 분석 결과를 확인해보면, 구종 분석이나 1년간의 모든 투구추적에 의한 제구력 분석을 통해 리베라의 커터가 언터처블로 불리는 이유를 쉽게 짐작할 수 있다.

투수가 던진 시속 150km의 공이 포수 미트까지 도달하는 시간은 약 0.44초이며, 타자는 0.2초 안에 히팅 포인트를 결정하고 정확하게 공을 쳐내야 한다. 그러나 리베라의 커터는 <그림1>의 고속카메라 구종 분석 결과에서 보듯 직구와 거의 비슷한 속도로, 유사한 궤적을 그리며 날아오다가 타자의 3∼5m 앞에서 종 또는 횡으로 급격히 변화한다. 공을 판단하는 시점에선 직구와 같은 속도와 궤적으로 보이기 때문에 커터일 것이라고 짐작해도 정확한 타격을 하기 어렵다.

<그림2>의 분석 결과에선 2009년 1년간의 통계적인 커터 제구력을 확인할 수 있다. 스트라이크존의 구석구석을 찌르는 면도날 같은 제구력을 보여주고 있으며, 가운데로 몰리는 실투성 투구는 거의 보이지 않는다. 이와 같이 객관적 데이터를 통해 리베라의 커터가 위력적인 이유를 알 수 있다.

이처럼 고속카메라 분석기술 뿐만 아니라 더 많은 과학·공학기술들이 야구에 적용되고 있으며, 이런 기술들에 힘입어 앞으로 더욱 공정하고 더욱 흥미로운 야구경기를 시청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길세기 박사 국민체육진흥공단 체육과학연구원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지금 뜨는 뉴스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