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빌딩은 이기는 팀에서 잘 한다, 왜?

  • 스포츠동아
  • 입력 2016년 6월 8일 05시 45분


두산 조수행-두산 안규영-NC 김준완-NC 박준영-넥센 박주현-넥센 신재영(왼쪽 상단부터 시계방향으로). 스포츠동아DB
두산 조수행-두산 안규영-NC 김준완-NC 박준영-넥센 박주현-넥센 신재영(왼쪽 상단부터 시계방향으로). 스포츠동아DB
리빌딩은 각 팀의 필수과제다. 새로운 선수를 통해 얻는 시너지 효과는 크다. 내부경쟁을 통해 기존 선수들의 실력이 향상되고, 선수층이 두꺼워지면서 선수 활용폭이 커진다. 주전선수가 빠져도 이를 뒷받침해줄 선수가 생기기 때문에 쉽게 무너지지 않는 강팀이 될 수 있다. 두산, NC, 넥센 등이 대표적인 구단이다. 그러나 리빌딩은 말처럼 쉽지 않다. 지도자들은 대부분 “지면서 하는 리빌딩은 없다. 강팀에서 새로운 선수가 나온다”고 입을 모은다.

● 잘 나가는 팀이 선수 발굴 가능 왜?

올 시즌만 두고 봐도 두산에는 조수행 류지혁 안규영 홍영현 등 새로운 선수들이 깜짝 등장해 활약하고 있다. NC에도 김준완 정수민 황윤호 박준영 구창모 등이 감초 역할을 해주고 있고, 매년 새로운 인물을 발굴하고 있는 넥센에서는 박주현 신재영 등 걸출한 선발투수를 2명이나 1군 무대에 데뷔시켰다. 세 팀의 공통점은 최근 몇 년간 상위권을 달리고 있다는 점이다. 최근 몇 년간 박해민, 구자욱 등 걸출한 선수들을 발굴한 삼성 류중일 감독도 “리빌딩은 이기면서 가능하다. 지면서 하는 리빌딩은 아무래도 쉽지 않다”고 말한 적이 있다. 그렇다면 유독 강팀에서 새로운 인물이 많이 나오는 이유는 무엇일까.

● ‘실수가 부각’ 상위팀-하위팀의 차이

A구단 감독은 “신인선수가 버틸 수 있는 환경이 만들어지느냐, 그렇지 않느냐의 차이”라고 설명했다. 이 감독은 “사실 지도자들이 신인선수에게 거는 기대치는 크지 않다. 당연히 실수를 하게 돼있고, 못 칠 수 있고, 마운드 위에서 무너질 수 있다는 생각을 가지고 있다”며 “단, 하위팀의 경우는 많이 지다보니 신인선수가 실수를 하면 크게 부각되고, 상위팀은 신인선수가 실수해도 경기를 이기다보니 두드러지지 않는다는 차이가 있을 뿐이다. 실수가 부각되면 신인선수가 갖는 부담감이 커지고 위축되게 된다. 당연히 제대로 된 실력 발휘도 할 수 없다”고 말했다.

B구단 코치도 “강팀은 일단 주전들이 갖춰진 상태다. 여기에 1~2명이 투입되면서 리빌딩이 된다”며 “많은 지도자들도 가장 이상적인 리빌딩 숫자는 1년에 1~2명이라고 본다. 한두 명의 선수들이 등장해주면 내부경쟁도 되고 선수층이 두꺼워지면서 팀이 좋은 방향으로 흘러갈 수 있다”고 말했다. 이어 “하위팀의 경우 주전이 확실하지 않는 경우가 많다. 그러면 신인선수에게 기회가 많이 갈 수 있지만 그만큼 잘해야 한다는 압박을 받을 수 있다. 그런 부분에서 강팀에서 새로운 인물이 쉽게 나올 수 있다”고 말했다.

홍재현 기자 hong927@donga.com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