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일 서울달리기대회 9000명 참가
국내 첫 안전지킴이-오토바이 투입, 응급상황시 도움받는 앱도 첫선
9일 열리는 2016 서울달리기대회에서 국내 마라톤 대회 처음으로 선보일 구급 오토바이.
“안심하고 달리세요. 최고의 구조대원들이 함께 뜁니다.”
청명한 가을 하늘 아래 서울 도심을 마음껏 질주하는 2016 서울달리기대회(공동 주최 서울시 동아일보사)가 9일 오전 출발 총성을 울린다. 세종대로에서 출발해 뚝섬 한강공원으로 골인하는 하프코스에는 약 2400명이, 같은 곳에서 출발해 서울광장으로 돌아오는 10km 코스에는 약 6600명이 참가한다.
참가자들의 안전을 위해 구급차와 인력 등을 지원해 왔던 서울소방재난본부는 국내 마라톤대회 처음으로 ‘구급 안전 지킴이’와 ‘구급 오토바이’를 준비했다.
소방재난본부 소속 구조대원 20명으로 이루어진 구급 안전 지킴이는 10km 코스를 처음부터 끝까지 함께 달리며 안전을 책임진다. 이번 대회에는 구급차만 13대가 준비돼 있지만 참가자의 심폐 정지 등 만약의 사태가 벌어질 경우 골든타임(4분) 내에 신속히 응급처치를 하기 위해서다. 구급 안전 지킴이들은 심폐 소생과 응급처치를 할 수 있는 필수 기구와 무전기를 몸에 지닌 채 뛰어야 한다.
구급 오토바이는 8대가 투입된다. 자동심장충격기를 포함해 9종 22점의 응급처치 장비를 싣고 다니는 구급 오토바이를 이용하면 심폐 정지는 물론이고 무의식, 기도 폐쇄, 중증 외상 환자들까지도 현장에서 응급처치가 가능하다. 구급 오토바이는 내년 3월 서울국제마라톤에서도 참가자들의 안전을 맡게 된다.
이번 대회에는 심박 정지 응급상황 발생 시 도움을 받을 수 있는 애플리케이션(앱) ‘하트히어로’(사진)도 처음으로 선보인다. 응급환자를 목격했을 때 이 앱 화면의 하트 표시를 누르면 119구조대와 반경 3km 이내의 하트히어로 앱을 갖고 있는 사람들에게 알람 메시지가 뜬다. 메시지를 받은 사람은 목격자와의 연락이 가능하며 현장까지의 최단 거리도 확인할 수 있다. 또 자동심장충격기 버튼을 누르면 주변의 가장 가까운 자동심장충격기를 찾을 수 있다. 이 앱을 설치한 대회 참가자가 서울광장에 마련된 라이나전성기재단 부스를 방문하면 선착순으로 건강보조식품을 받을 수 있다.
라이나전성기재단 한문철 상임이사는 앱 출시와 함께 “서울달리기대회를 시작으로 심정지 응급상황 발생 시 도움을 받을 수 있는 하트히어로 앱과 공동 캠페인을 진행하게 됐다”고 말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