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부족했던 윤성빈을 ‘스타트 제왕’으로 만들다

  • 동아일보
  • 입력 2018년 1월 31일 03시 00분


코멘트

[테마로 본 평창올림픽]스포츠과학으로 일군 ‘세계 1위’

세계적인 선수들의 기량은 어느 정도 수준에 올라가면 비슷해진다. 올림픽 금메달에 필요한 0.01초, 0.01mm 차이의 극복을 위해선 과학의 힘도 필요하다. 평창 겨울올림픽에서 한국 썰매 사상 첫 금메달을 획득할 것으로 기대를 모으고 있는 ‘스켈레톤의 신성’ 윤성빈(24·강원도청)은 신이 준 신체 능력에 스포츠 과학을 잘 입혀 만들어낸 ‘명품’이다.

상대적으로 작은 키(178cm)에도 농구 림을 쉽게 잡는 것이 눈에 띄어 발탁된 윤성빈은 순발력을 천부적으로 타고났다. 스타트에 따라 순위가 갈리는 스켈레톤의 특성상 순발력은 가장 필수적인 조건이다. 순발력의 가장 좋은 척도가 순간적으로 큰 힘을 내는 사전트 점프다. 농구 선수도 제대로 못 잡는 림을 잡을 정도이니 눈에 띄었던 것이다.

윤성빈은 스켈레톤 입문 1년 만인 2013년 아메리칸컵에서 우승하는 등 두각을 나타내 2014년 소치 올림픽까지 출전했고 16위에 올랐다. 이후 월드컵에서 가끔 우승하기는 했지만 꾸준한 성적을 내진 못했다. 2014년부터 한국스포츠개발원이 윤성빈을 과학적으로 지원했다. 개발원은 윤성빈이 폭발적인 힘을 내도록 하체 근육량을 늘리는 데 초점을 맞췄다. 육상 단거리 100m 선수들의 하체가 탄탄하듯 스켈레톤도 하체가 중요하다. 강도 높은 웨이트트레이닝으로 하체 근육을 키웠다. 스피드에 유리한 속근 단련에 중점을 뒀다. 윤성빈은 2016년 기준으로 사전트 점프 107cm를 뛰어 대표팀 최고를 기록하고 있다.

하지만 좀처럼 마르틴스 두쿠르스(라트비아)의 벽을 넘지 못했다. 민석기 개발원 스포츠과학실 선임연구원은 다양한 분석 결과 윤성빈이 신체 좌우 힘의 균형이 맞지 않는다는 것을 알아냈다.
 
윤성빈의 폭발적인 스타트의 원동력은 튼튼한 하체. 최대 200kg 이상의 무게를 짊어지는 강도 높은 웨이트 훈련을 수년간 하고 있다. 윤성빈이 바벨을 짊어지고 스쿼트를 하는 장면. 한국스포츠개발원 제공
윤성빈의 폭발적인 스타트의 원동력은 튼튼한 하체. 최대 200kg 이상의 무게를 짊어지는 강도 높은 웨이트 훈련을 수년간 하고 있다. 윤성빈이 바벨을 짊어지고 스쿼트를 하는 장면. 한국스포츠개발원 제공
가장 폭발적인 파워를 내려면 햄스트링(허벅지 뒷근육)의 힘이 100%일 때 대퇴사두근(허벅지 앞근육)의 힘이 70%여야 한다. 일반 선수들의 경우 이 비율이 100 대 50이 안 된다. 윤성빈은 오른 다리의 경우 100 대 61이었는데 왼 다리의 경우 이 비율이 100 대 42였다. 두 다리 힘의 밸런스 차이가 너무 컸다. 왼쪽 넓적다리 앞쪽은 강한데 뒤쪽이 약했던 것이다. 지난해 7월부터 3개월간 이 비율을 맞추는 훈련을 진행했다. 오른쪽 69%, 왼쪽 50%까지 끌어올렸다.

1차에 비해 2차에 기록이 떨어지는 현상을 막기 위한 프로그램도 진행했다. 2016∼2017 시즌 월드컵에서는 1차 시기에서 좋은 기록을 낸 뒤 2차 시기에서 무너지는 경우가 많았다. 개발원은 바이브레이션(Vibration) 훈련을 함께 했다. 기계에 올라서면 몸을 전체적으로 떨게 하는 바이브레이션에서 30초간 있게 하는 훈련이다. 심한 훈련이나 경기를 마치고 난 뒤 바이브레이션에 올라가면 근피로도를 떨어뜨려 회복력을 높여주고 근신경계를 활성화시킨다는 연구 결과에 따른 훈련이다.

육상 트랙 100m 훈련 때 1차 레이스를 하고 바이브레이션에 오르게 한 뒤 2차를 뛰게 했다. 지난해 7월부터 3개월간 훈련하고 나니 0.03초 단축 효과가 있었다. 과거 1차에 비해 2차 레이스 때 0.02초가 뒤졌는데 오히려 0.01초가 빨라진 것이다. 2016년 100m 기록이 11초64였는데 2017년에는 11초06으로 낮아졌다. 각종 대회 때도 바이브레이션을 가지고 가서 테스트했다. 역시 좋아졌다.

실전 결과로도 이어졌다. 지난해 11월 미국 파크시티에서 열린 월드컵에서 1차 스타트 4초51, 2차 때 4초52로 우승했고 11월 25일 캐나다 휘슬러에서 열린 3차 월드컵에선 1차 스타트 4초52, 2차 4초50으로 정상에 올랐다.

윤성빈은 훈련 과정에서 적정 체중도 찾았다. 스켈레톤에 입문했을 때 75kg. 속도를 높이기 위해 한때 90kg까지 늘렸다. 하지만 86kg 때 가장 높은 속도가 나왔다. 그때부터 이 체중을 유지하고 있다.

평창 올림픽 개막이 10일도 남지 않은 현재 윤성빈은 그동안 쌓아온 기량을 유지하는 컨디션 조절에 들어갔다. 운동생리학적으로 컨디션을 경기 날에 최상으로 끌어올리는 프로그램을 진행하고 있다. 개발원은 평창 올림픽 스포츠과학지원팀을 3∼5년 전에 구성해 운동생리학, 운동역학, 심리적으로 지원했다.
 
양종구 기자 yjongk@donga.com
#윤성빈#스타트 제왕#평창 겨울올림픽#스켈레톤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