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빙상연맹 난맥, 관리단체 지정될 수준… 전명규 전 부회장 부당한 영향력 행사”

  • 동아일보
  • 입력 2018년 5월 24일 03시 00분


정부-체육회, 특감 결과 발표
심석희 수십 차례 폭행, 허위 보고… 경기복-후원사 선정 과정 불투명
팀추월 ‘왕따’는 고의성 없어보여

“빙상연맹의 난맥상은 관리단체로 지정될 만한 수준이다.”

문화체육관광부와 대한체육회가 합동으로 한 달여간 실시한 대한빙상경기연맹에 대한 특정감사 결과 발표가 23일 있었다. 발표자인 노태강 문체부 제2차관은 “빙상연맹의 현 상황은 관리단체 지정을 검토해야 할 만큼 심각하다”고 밝혔다.

이번 감사에서 ‘빙상계의 대부’로 불려온 전명규 전 빙상연맹 부회장은 재임 시는 물론이고 연맹을 떠나 있을 때도 부당한 영향력을 행사해온 것으로 드러났다. 재임 시에는 권한을 남용해 국가대표 지도자의 징계에 압력을 행사했고, 2014년 부회장을 사임한 이후에도 권한 없이 빙상연맹 업무에 개입한 것으로 밝혀졌다. 2017년 부회장으로 복귀해 이번 감사 기간 중 다시 사임한 전 씨와 관련해 노 차관은 “연맹 규정에 현직에 있지 않아도 책임을 묻도록 돼 있다. 징계 수위와 내용은 연맹의 징계위원회에서 결정될 것”이라고 밝혔다.

한편 빙상연맹은 ‘조직의 사유화’를 방지하기 위해 대한체육회가 2016년 폐지한 상임이사회를 계속 유지하면서 연맹을 비정상적으로 운영해온 것으로 드러났다. 이는 ‘특정 인물(전명규 전 부회장)이 빙상계에 영향력을 행사하는 결과를 초래했다’고 명시했다. 빙상연맹은 이번 감사에서 국가대표 선발과 지도자 임용 과정에서의 부정을 비롯해 국가대표 경기복 선정과 후원사 공모 과정의 불투명, 선수 폭행, 업무 활동비의 부당 지급 등의 사례가 다수 적발됐다.

그런데 2018 평창 겨울올림픽 기간 중 불거진 여자 팀 추월 ‘왕따 질주 논란’에 대해서는 ‘관련자 진술과 다른 나라의 대표팀 사례 등을 종합해 보면 특정 선수가 고의로 마지막 바퀴에서 속도를 높이거나 또는 특정 선수가 일부러 늦게 주행했다는 의혹은 사실이 아닌 것으로 판단된다’는 최종 결론을 내렸다.

하지만 문재인 대통령의 진천선수촌 격려 방문 전날 조모 코치가 쇼트트랙 심석희 선수를 밀폐된 공간에서 발과 주먹으로 수십 차례 폭행해 선수가 선수촌을 이탈했다는 것과 이를 은폐하기 위해 대한체육회에 허위 보고(심석희가 감기몸살로 병원에 갔다)한 사실을 구체적으로 적시했다. 문체부는 이 폭행 사건과 경기복 선정 및 후원사 공모 과정 의혹에 대해서는 경찰에 수사 의뢰를 했다.

문체부는 이번 빙상연맹 특정감사에서 여러 가지 논란과 의혹에 관련된 50명에 이르는 관련자 진술과 사실관계 확인, 분석 자료를 바탕으로 총 49건(징계 28건, 환수 1건, 수사 의뢰 2건, 기관경고 3건, 개선요구 7건, 권고 3건, 통보 5건)의 감사 처분을 요구할 예정이다.

안영식 전문기자 ysahn@donga.com
#빙상연맹#전명규
  • 좋아요
    0
  • 슬퍼요
    1
  • 화나요
    1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

  • 좋아요
    0
  • 슬퍼요
    1
  • 화나요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