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4년 만의 아시안컵 우승 도전에 실패한 한국 축구대표팀 위르겐 클린스만 감독의 선수단 운영이 비판을 받는다.
클린스만 감독이 지휘한 한국 대표팀은 7일(한국시간) 카타르 알라이얀의 아흐마드 빈 알리 스타디움에서 열린 2023 아시아축구연맹(AFC) 아시안컵 준결승에서 요르단에 0-2로 져 탈락했다.
역대 최강 전력이란 평가에도 클린스만호는 국제축구연맹(FIFA) 랭킹 87위인 요르단에 허무하게 무너졌다. 이 경기 전까지 요르단에 3승3무로 진 적이 없었기에 충격은 더 컸다.
요르단전 졸전에도 무색무취 전술로 일관했던 클린스만 감독의 용병술도 비판을 받는다.
한국은 조별리그부터 거의 매 경기 주전급 선수의 변화 없이 4강전까지 치렀다. 16강이 조기 확정된 조별리그 최종전에서도 FIFA 랭킹 130위 말레이시아를 상대로 손흥민(토트넘), 이강인(파리생제르맹), 김민재(바이에른 뮌헨) 등 사실상 베스트11을 가동했다.
하지만 말레이시아를 상대로도 3-3으로 겨우 비기면서 선수단 체력 안배에 실패했고, 토너먼트 16강과 8강전을 연달아 연장 승부까지 펼쳐 선수들의 체력은 바닥났다.
실제로 손흥민과 이강인은 정규시간만 540분을 소화했고, 추가시간과 연장전을 포함해 600분 가까이 그라운드를 달렸다.
측면 수비수 설영우(울산)도 비슷한 시간을 뛰었다.
이들이 팀 내 차지하는 비중을 고려할 때 조별리그에서 로테이션을 통한 체력 안배를 왜 안 했는지 의문이 드는 이유다.
클린스만호는 총 26명의 최종 엔트리 중 4강전까지 못 뛴 선수가 무려 5명이 된다.
문선민(전북), 이순민(대전), 김주성(서울), 김지수(브렌트포드), 송범근(쇼난벨마레)은 이번 대회 내내 동료들이 뛰는 모습만 지켜봤다.
공격수 문선민은 대회 기간 부상으로 정상 컨디션이 아니었다고 하나, 지난 시즌 프로축구 K리그1 광주FC 돌풍의 주역이었던 미드필더 이순민을 끝까지 활용하지 않은 건 아쉽다.
클린스만 감독은 이순민을 외면하고 조별리그부터 잦은 실수를 비판 받았던 박용우(알아인)를 요르단과 4강전에 또 기용했다.
이순민을 조별리그부터 적절하게 교체로 활용했다면 황인범(즈베즈다)에게 과부하도 걸리지 않을 수 있었다.
센터백 김주성, 김지수도 마찬가지다. 클린스만 감독은 후방 수비가 필요할 때 이들 대신 미드필더와 수비가 모두 가능한 멀티 자원 박진섭(전북)을 기용했다.
애초에 이럴 계획이었다면, 이들 대신 공격이나 미드필더 옵션을 더 추가하는 게 나았다.
대회 전 부상으로 초반에 결장하다 말레이시아와 조별리그 최종전에 후반 30분 교체로 처음 투입됐던 김진수를 토너먼트 돌입 후 쓰지 않은 선택도 고개를 갸웃하게 만든다.
설영우가 왼쪽에서 제 몫을 해줬지만, 체력적으로 후반에 지친 데다 반대쪽의 김태환(전북)이 다소 부진해 설영우를 오른쪽으로 이동시키고 김진수를 투입하는 것도 전술적인 대안이 될 수 있었다.
A매치 70경기를 뛴 김진수는 경험이 풍부한 측면 수비수다. 하지만 16강전과 8강전, 4강전까지 모두 벤치만 지켰다.
이를 두고 일각에선 김진수의 부상이 또 재발한 것이 아니냐는 추측도 제기됐다.
하지만 김진수는 요르단이 끝난 뒤 “말레이시아전 이후 단 한 번도 아팠던 적이 없다. 많은 분이 오해를 많이 하시더라. 아프냐고 묻는 연락이 많이 왔다”며 “몸 상태가 나쁘고 그랬던 건 아니다. 하지만 내가 뛰었다고 경기가 달라질 거로는 생각하지 않는다”고 말해 클린스만 감독을 향한 비판 여론에 불을 지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