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입수학능력고사가 끝났다. 이제 대학진학 여부를 판가름하는 변수로는 논술만 남았다. 당연히 논술열풍이 불어닥쳐 학원마다 수강생들이 북적이고 과외도 성행하리라 예상된다. 94년부터 시행된 수능시험은 교육의 질을 상당부분 긍정적인 방향으로 변화시켰다. 하지만 5지선다형의 객관식 측정도구라는 태생적 한계를 지니고 있었다. 그러기에 시간이 흐르면서 교육현장은 문제풀이 위주의 학습에 치중하게 됐다. 당초 예상하고 목표했던 방향에서 벗어난 셈이다. 이같은 수능의 한계를 보완하는 대안이 논술이라는데 현장교사들은 대체로 공감하고 있다. 논술은 학생 스스로가 문제를 발견하고 논리적 합리적인 사고활동을 통해 해결할 것을 요구한다. 그런 까닭에 단기적이나 결과론적 처방으로는 안되고 정상적인 과정과 절차를 통해서만 가능하다. 따라서 논술은 수업의 과정과 질 자체를 변화시킬 수 있는 열쇠가 될 수도 있다. 문제는 현행 제도교육 안에서는 논술이나 논술적 사고가 활용되지 못하고 있다는 점이다. 오히려 과외 회원제학습지 학원 족집게논술에 이르기까지 상업적 논술산업만 번창하고 있는 실정이다. 논술을 학교현장에 정착시키기 위해 어떻게 해야 할지 제언하고자 한다. 첫째로 논술의 평가에서 객관성과 투명성을 지나치게 강조하거나 연연해서는 안된다. 주체적 사고와 창의성은 주관적 해석과 같다. 따라서 객관성 확보라는 명목으로 정형화된 틀에 끼워맞출 수는 없는 문제다. 학교평가마저 객관식이나 논란여지 없이 단순명확한 단답형에 치우치고 있는 현실을 주목해야 한다. 둘째로 대학당국의 노력도 요구된다. 올해 시행하는 대학논술고사에서부터 변별력있는 채점으로 논술의 중요도를 높일 필요가 있다. 합격여부를 결정짓는데 영향력이 있어야 일선고교에서도 매달리게 되는게 현실이기 때문이다. 논술시험 시간과 작성분량도 대폭 늘릴 필요가 있다. 예년처럼 2시간안에 2편의 논제를 해석하고 6백∼1천자 정도의 논술을 각각 작성하라는 식으로는 모범답안의 암기나 기술적 측면의 기능을 조장하는 결과만 낳을 뿐이다. 짧은 기간의 「벼락치기」로는 논술고사를 제대로 치를 수 없다는 공감대가 확산돼야 문제가 해결된다. 이를 바탕으로 수업에서부터 모든 교육활동 영역에 이르기까지 학생들의 주체적 참여가 이뤄지도록 해야 한다. 이같은 환경을 조성하자면 정부와 대학 일선학교현장 모두의 노력과 투자가 요구된다. 오송식(광양제철고 교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