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무부나 주미(駐美) 한국대사관 사람들이 항상 강조하는 것이 韓美(한미)공조다. 한 관리는 『한미 양국 사이에 아무런 문제도 없다』고 자신있게 말한다. 북한의 식량난이나 4자회담에 대해 손발이 척척 맞고 있다는 얘기다. 과연 그럴까. 「북한과 5백만달러어치의 미국산 밀 수출계약을 체결했다」는 카길사의 7일 발표는 외무부의 한미 공조 장담을 무색하게 만든다. 카길사는 지난 5일 북한과 문제의 계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그러나 계약은 이미 오래전에 끝나 있었다는 것이 소식통들의 전언이다. 한 정통한 소식통은 『3월에 이미 계약이 끝났다』고 확인했다. 계약 시점이 중요한 것은 4자회담과의 관련성 때문이다. 남북한과 미국은 지난달 26일과 지난 4일 뉴욕에서 두 차례에 걸쳐 실무접촉을 갖고 대(對)북한 식량지원과 4자회담 개최문제에 대해서 논의했다. 만약 한국정부가 카길사와 북한간의 밀 구입계약이 성사됐음을 미리 알았더라면 뉴욕 실무접촉에 임하는 협상전략은 달라질 수 있었을 것이고 또 달라져야 했다. 한국은 보다 유리한 입장에서 북한을 대할 수 있었을 것이고 북한이 4자회담 수락을 미룰 명분도 없었을 것이다. 그러나 불행히도 한국은 카길사와 북한간에 밀 구입계약이 체결된지도 모른 채 뉴욕에서 북한과 마주 앉았던 셈이다. 미국은 물론 다 알고 있었다. 미국이 이를 의도적으로 은폐했다고 보기는 어렵다. 국무부가 항상 강조하듯 카길사는 민간기업이고 따라서 정부가 일일이 보고를 종용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카길사는 4일의 뉴욕 접촉에서 남북한과 미국이 준고위급회담을 갖기로 합의, 4자회담과 대북(對北)식량지원의 연결고리가 풀릴 조짐을 보이자 기다렸다는 듯이 곡물거래 계약 사실을 발표했다. 카길사의 발표가 있자 주미 한국대사관측은 뒤늦게 국무부에 거의 원색적인 표현까지 써가며 강력히 항의를 했지만 버스는 이미 떠난 뒤였다. 이재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