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트렌드 생활정보 International edition 매체

[이건희 에세이/21세기 앞에서]야구공의 실밥

입력 | 1997-05-16 20:24:00


지금 세계는 냉전보다 더욱 무서운 기술전쟁의 시대로 접어들고 있다. 기술력이 국가경쟁력을 좌우한다 해도 과언이 아니다. 기술대국 미국은 특허 분쟁, 지적재산권 분쟁을 자주 일으킨다. 미국은 기술료로 매년 2백억달러에 가까운 수입을 올리고 있으니 그럴 만도 하다. 그런가 하면 일본은 핵심기술을 도입하고 이를 상품화하는데 특기를 발휘하여 오늘날의 경제대국을 이루어 냈다. 선진국들은 과학기술을 국가안보차원에서 다루고 있다. 과학기술이 부족하면 경제식민지가 될 뿐 아니라 국가안보마저도 남의 손에 의존할 수밖에 없다. ▼ 기술패권시대 21세기 ▼ 19세기가 군사력, 20세기가 경제력의 시대였다면 21세기는 기술패권주의 시대라고 할 수 있다. 우리나라도 한때는 과학기술 선진국이었다고 할 수 있다. 금속활자 한글 동의보감 거북선 측우기가 그렇고 특히 김치와 같은 우리의 고유음식에서 보듯 발효에 대한 개념까지도 이미 갖고 있었다. 정보화와 관련해 본다면 금속활자는 세계 최초의 하드웨어라고 할 수 있으며 한글은 기막히게 과학적인 소프트웨어라고 할 수 있다. 이렇듯 우수했던 우리나라의 과학기술이 오늘날 뒤떨어지게 된 것은 무엇 때문일까. 먼저 과학기술을 천시했던 사회풍토를 들 수 있다. 우리나라에서 지성인 교양인으로 행세하려면 피카소나 셰익스피어는 알아야 하지만 세계적인 물리학자인 스티븐 호킹이나 반도체를 발명한 쇼클리 박사는 몰라도 된다는 사람이 많다. 역사에 대한 보존의식도 희박하다. 반만년의 역사를 자랑하면서도 박물관은 그 숫자와 소장품의 질에 있어서 선진국과 비교할 바가 못된다. 과학기술에 대한 정부의 인식도 아직은 미흡하다. 그림이나 불상은 오래 전부터 문화재로 지정해 왔으나 물시계 해시계 등이 과학기술 문화재로 인정된 것은 불과 10여년 전이다. 기술전쟁의 시대에서 살아 남기 위해서는 경쟁자가 미처 생각하지 못한 멋진 상품을 개발, 먼저 시장에 내놓을 수 있는 기술경영을 실천해야 한다. 과거처럼 낮은 임금을 앞세우거나 남이 하는대로 따라가는 「미 투(Me Too)전략으로는 생존 자체가 어렵다. 최근 불황을 맞이한 일부 기업에서 기술에 대한 투자를 축소하려는 경향이 있는 듯하다. 그러나 당장 오늘이 어렵다고 내일의 희망마저 포기할 수는 없지 않은가. 기술투자는 미래에 대비한 종자(種子)이다. 아무리 배고프다고 종자로 떡을 해먹을 수는 없는 법이다. ▼ 과학 생활화가 지름길 ▼ 도레이가 듀퐁으로부터 나일론 기술을 들여오기 위해 자본금보다 많은 기술료를 치렀던 것은 일찍이 기술에 대한 선견지명이 있었기 때문이다. 과학 기술 입국을 위해서는 장기적인 관점에서 과학의 생활화 대중화가 이루어져야 한다. 어릴 적부터 장난감 동화 놀이 속에서 과학을 생활화하는 것이 중요하다. 예를 들면 야구공에 실밥이 있는 것은 물리학의 공기저항 원리를 이용하여 공의 스피드를 높이고 다양한 구질을 만들어 낸다는 과학의 이치를 쉽게 깨우쳐 주어야 한다. 대통령이 되고 법관이 되기보다 연구실에서 밤을 지새우는 고독한 과학자의 길을 가겠다는 어린 새싹들이 많이 나와야 한다. 이건희 (삼성그룹 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