골프가 다시 도마위에 올랐다.
‘공직자 골프해금’과 맞물려 주말 골프장에 내장객이 몰리자 “벌써 국제통화기금(IMF)을 잊었느냐”며 골퍼를 보는 시선이 곱지 않다.
실직자 입장에서 보면 한차례 라운딩에 20만원 남짓 필요한 골프라운딩은 물론 ‘사치’.
하지만 골프업계 종사자들의 시각은 다르다.
‘골프도 엄연한 산업이므로 다른 분야와 마찬가지로 건전한 소비가 필요하다’는 것.
골프채를 비롯해 각종 용품과 회원권거래 골프장영업 등 국내 골프업계의 한 해 총매출액은 2조원대, 종사자는 20만여명. 결코 무시할 수 없는 규모다.
IMF체제에 들어서면서 그러잖아도 ‘정리해고 업종 1순위’로 눈총받고 있는 골프업계는 언론의 부정적인 보도가 나갈 때마다 몸살을 앓고 있다. 실직자를 양산한 것은 골프업계도 마찬가지.
‘돈이 돌아야 경제가 살아날 수 있는데 무조건 소비를 억제하는 것은 짧은 생각’이라고 골프업계는 항변한다.
현재 국내에 5억원 이상의 예금계좌를 갖고 있다는 7만여명의 예금총액은 무려 1백7조원. 이들이 골프치는 것을 ‘백안시’한다면 해외골프투어로 외화가 허비될 것은 불을 보듯 뻔한 일. 골프채를 들고 해외로 나가는 사람들을 ‘특별관리대상’으로 분류하자 현지에서 골프채를 구입해 쓰는 경우도 있다. 이야말로 낭비가 아닐 수 없다.
특이한 상황이지만 한국의 골프환경은 ‘국산품 애용’에 걸림돌이 많다. 골프채의 경우 과거 100%이상 부과되던 특별소비세가 많이 내렸다고는 하지만 아직도 42%나 붙고 골프장 그린피는 지난해말 무려 400% 이상 인상됐다.
골프를 세금걷기 만만한 ‘봉’으로 보는 정부의 시각이 바뀌지 않는 한 일반인이 갖고 있는 ‘골프는 사치성 오락’이라는 선입견을 해소할 길은 요원하다.
〈안영식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