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능시험이 대학 신입생 선발에서 절대적인 기준으로 자리잡은지 오래다. 수능시험 성적이 좋은 학생이 곧 우수한 학생이라는 인식이 대학 관계자들에게 뿌리내려 있는 것이다. 흔히 대학이나 학과의 우열이 신입생의 수능 평균점수로 가려지곤 한다. 하지만 사람에 관련된 일이란 그렇게 단순하지 않은 법이다. 엄밀히 따지자면 수능성적은 수험생 개개인의 능력 가운데 일부를 보여주는 지표에 불과하다.
▼지난 입시에서 학교장 추천입학제를 처음 도입한 서울대가 1학기 학업성적을 분석했더니 일반 학생보다 학교장 추천 입학생들의 성적이 더 우수했다고 한다. 통념을 깨뜨린 결과다. 일반 학생들은 전국적으로 수능성적이 가장 뛰어난 학생들인 반면, 추천 입학생들은 성적보다는 특수재능 리더십 품행 등을 인정받아 서울대에 들어온 학생들이기 때문이다.
▼최근 서울대가 학교장 추천제와 같은 무시험 전형을 해마다 크게 늘려 나가겠다고 밝힌 것은 교육부가 강력히 주문한 탓도 있지만 이런 의외의 결과에 고무된 바 컸다는 후문이다. 뒤집어 말하면 그간 우리 대학의 수능위주 입시방식이 허점투성이였다는 얘기도 된다. 이런 반성을 바탕으로 우리 대학들은 ‘생색내기’가 아닌 실질적 차원에서 신입생 선발방식을 다양화할 필요가 있다.
▼미국 대학들은 인재양성에 매우 과학적인 방법을 도입하고 있다. 여러 방식으로 선발한 신입생의 학업성취도를 오랜 기간 면밀히 추적 조사하는 것이다. 이 조사는 해당 학생이 졸업한 후 사회적으로 어떻게 적응하고 성장해 나가느냐까지 포함해 이뤄진다. 그 결과가 다시 신입생 선발에 반영됨은 물론이다. 우리 대학들도 더이상 주먹구구식 인재선발 방식에 안주해서는 안될 시점에 와 있다.
홍찬식chansik@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