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간이 개를 식용한 것은 선사시대부터였겠으나 중국 진(秦)나라에서 삼복(三伏)제사를 지낼 때 개를 잡아 썼다는 기록이 ‘사기(史記)’에 나오는 것을 보면 역사가 꽤 오래됐음을 알 수 있다. 국내에서도 ‘동의보감’은 ‘개고기가 오장을 편안하게 하고 혈맥을 조절하며…양도(陽道)를 일으켜 기력을 증진시킨다’고 권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19세기 중반 조선 후기의 세시풍속을 자세히 전하는 홍석모(洪錫謨)의 ‘동국세시기’에 따르면 보신탕은 본래 ‘구장(狗醬)’이란 이름으로 불렸다. ‘개를 삶아 파를 넣고 끓인 것을 구장으로 부른다’며 삼복 중의 대표음식으로 소개하고 있는 것이다. 그러나 당시에도 양반가에서는 개고기를 꺼리는 경향이 있어 대신 쇠고기로 ‘대구장(代狗醬·육개장)’을 끓여 먹었다는 기록이 전한다.
▼말복(11일)을 불과 며칠 앞두고 터져나온 제약회사 실험용 개 시판 사건때문에 삼복 계절음식으로 자리잡은 보신탕에 대한 구미가 싹 가실 전망이다. 광견병백신 등 의약품을 만드는 데 실험용으로 사용했거나 병사한 개 5천여 마리가 보신탕집이나 건강원에 팔렸다는 보도는 충격을 넘어 분노를 자아낸다. 수도권 일대에서 수십만 그릇이 팔렸다니 보신탕 애호가라면 너나 할 것없이 피해자가 아닌가 싶어 기가 막힌다.
▼‘석회 두부’ ‘수은 콩나물’ ‘포르말린 번데기’ 등 크게 사회문제화된 부정식품이 한두가지가 아니지만 실험용 개 시판 사건은 우리 사회의 뒤틀린 양심의 한 단면을 보여주는 또 다른 사례가 아닐 수 없다. 돈만 벌 욕심으로 소비자야 어떻게 되든 말든 나야 상관없다는 심보가 괘씸하다. 이런 유의 범죄는 법이 허용하는 최고의 중죄로 다스려야 마땅하다.
임연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