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월초 김대중(金大中)대통령이 일본을 방문한다. 새 정부 들어 첫 한일 정상회담. 양국 관계는 발전할 수 있을까. 그 다양한 방안을 모색하기 위한 국제학술심포지엄 ‘21세기의 아태(亞太)협력시대를 향한 한일 협력방안 연구’가 10일 서울 하얏트호텔에서 열렸다.
아태정책연구원(원장 신희석) 동국대 일본학연구소(소장 공로명) 공동주최. 동아일보 후원.
사회문화 협력 분과 주제발표에 나선 구로다 가스히로 산케이신문 서울지국장은 “현재 한일관계의 최대 장애는 점점 깊어져가는 일본인들의 ‘염한 혐한(厭韓 嫌韓)’ 감정”이라고 전제하고 이같은 현실을 무시하고선 관계 개선이 어려울 것으로 전망했다. 이러한 반한(反韓) 감정은 △냉전이 끝나면서 일본 안보방패로서의 한국의 역할이 끝났다는 시각 △일본 근현대사를 ‘부정’과 ‘속죄’로만 바라보아선 안된다는 시각이 확산되고 있기 때문. 한국에 대한 속죄의식이 뒷전으로 밀리는 것은 당연한 셈이다.
구로다 지국장은 “한국은 이런 상황에서 과거의 카드를 고집해선 안된다”고 말하고 “비정부조직(NGO)과 같은 민간 교류나 지역간의 교류를 활성화해야만 양국의 국가적 민족적 대립이 완화될 것”으로 내다봤다.
최상룡 고려대교수 역시 ‘항일(抗日)’ ‘혐한’의 감정적 악순환에서 벗어나 ‘지일(知日)’ ‘지한(知韓)’을 통해 이성적으로 접근해야 한다는데 의견을 같이 했다. 그러나 “한국 정부가 열린 외교정책을 추진하고 있는 만큼 일본 지도자가 보편적 가치와 개혁 개방에 걸맞은 정치를 어떻게 펼쳐나가는가 하는 점이 새로운 한일관계에 있어 중요한 관건이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광표기자〉kplee@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