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연 협상의 여지가 있는 것인가, 없는 것인가.
미국과 북한이 북한의 지하핵시설 건설 의혹과 관련한 협상시한을 연장, 마라톤 회의를 계속하면서 궁금증이 증폭되고 있다.
양측은 4,5일 뉴욕회담과 7,8일 워싱턴회담에 이어 다시 뉴욕으로 돌아가 10일 협상을 계속한다.
워싱턴의 한 소식통은 평양에서 3차 협상을 벌일 가능성도 있다고 전했다.
협상의 핵심은 북한이 평북 금창리에서 벌이고 있는 지하공사에 대한 현장 확인 대가로 3억달러를 요구하고 있는 반면 미국은 한푼의 ‘입장료’도 줄 수 없다며 무조건적 현장접근을 요구하고 있는 것.
그렇다면 왜 양측은 전혀 타협의 여지가 없어 보이는 협상을 계속하는 것일까.
이와 관련해 양측이 밝히지는 않고 있으나 모종의 진전이 이뤄지고 있다는 관측이 나돌고 있다.
김대중(金大中)대통령이 6월 빌 클린턴 미국대통령에게 제안했다는 북한문제의 ‘일괄타결안’의 밑그림이 그려지고 있지 않느냐는 추측이 나오고 있는 것이다.
어차피 지하핵의혹 규명만으로는 북―미(北―美)관계의 근본적인 현안들을 풀 수 없는 만큼 차제에 양측의 현안을 모두 묶어 주고 받는 것이 필요하다는 얘기다.
북한은 8일 회담에서 3억달러를 요구하는 강도를 누그러뜨렸으며 미국은 식량지원의 중단가능성을 언급함으로써 양측 모두 약간의 변화를 보여준 것으로 알려졌다.
이같은 변화가 일괄타결 해법으로 여물기까지는 시간이 필요하기 때문에 양측이 회담을 거듭하고 있지 않느냐는 분석이다.
김대통령의 일괄타결제안을 주의깊게 검토할 것이라는 미국정부의 발표도 이같은 분위기를 감지하게 한다.
미 국무부의 제임스 폴리 부대변인은 8일 “대북정책 전반을 재검토할 윌리엄 페리 전국방장관의 물음에 대한 김대통령의 답변들은 주의깊게 검토될 것”이라면서 “한반도 평화체제 정착과 미사일 문제 등 우리의 관심사에 대한 북한의 태도변화가 이뤄진다면 대북 경제제재 완화 등 북한과의 관계개선이 검토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 때문에 협상타결의 관건은 양측이 상대방에 줄 것에 대한 내부적 공감대를 언제 형성하느냐에 달려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워싱턴〓홍은택특파원〉euntack@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