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7년 우리나라 자동차는 1천만대를 넘어서 자동차 대중화시대를 맞이했다. 가구당 1대 정도로 소유면에서는 선진국이라고 할 수 있지만 자동차 문화는 아직 후진성을 면치 못하고 있다.
얼마전 주한 외국인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에서 외국인이 평가하는 우리의 교통질서 수준은 평균 40점으로 나타났다. 교통사고율을 살펴보면 유럽국가 평균이 0.5%, 미국과 일본은 1.1%인데 비해 우리는 2.9%로 월등히 높다. 97년 한 해만 해도 교통사고로 1만여명이 사망했고 34만명 이상이 부상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 최근 10년간 교통사고 피해자는 사망자 11만명을 포함해 3백30만명, 교통사고를 경험한 가정이 10만가구, 이 중 부모 가운데 한쪽을 잃은 가정이 5만가구, 고아가 된 경우가 1만가구 등 교통사고로 인한 가정파괴도 엄청나다.
교통사고는 인간 자동차 도로환경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해 발생하지만 근본 원인은 운전자의 의식부족으로 인한 부주의와 법규위반이 대부분이다. 따라서 운전자의 의식전환을 위한 지속적인 교통안전교육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현재 교통안전교육은 벌점 30점 이상을 기록해 교정교육을 받는 운전자(연40만명 정도)를 제외하면 면허취득시나 적성검사시 받는 교육이 전부라 할 수 있다.
그러나 매일 1천명 가까이 사상하는 우리의 현실에서 교통안전교육 강화는 다른 어떤 대책보다도 시급하다. 사고나 법규위반이 발생한 뒤 사후훈계 교육도 중요하겠지만 사전예방차원에서 최소한 면허증 경신(5∼7년)때라도 교육을 실시하는 것을 검토해야 한다. ‘선(先)교육 후(後)안전’의 개념을 적극적으로 반영하자는 것이다.
예비군 교육이나 민방위 교육과정 등에도 교통안전교육을 제도화하여 안전교육을 반복하고 각종 사회교육이나 기업체의 연수 및 자체교육 프로그램에 교통안전교육을 상설화하는 것도 필요하다. 이렇게 가정과 학교에서부터 안전교육을 실시하고 신규운전자교육 교정교육 사회교육 등으로 연계해 반복적이고 지속적 교육이 이뤄질 때 ‘교통사고 많은 나라’라는 오명을 벗게 될 것이다.
문태학(도로교통안전관리공단 충남지부 교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