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야 사무총장이 4일 조속한 시일안에 총재회담을 성사시키기로 합의함에 따라 막후협상이 급진전될 것으로 보인다.
특히 여야 총무가 총장 접촉에 앞서 회담을 갖고 국세청 불법모금사건에 연루된 한나라당 서상목(徐相穆)의원 체포동의안 처리를 유보키로 합의, 그동안 총재회담의 최대 걸림돌이었던 서의원 문제도 정리됐다.
여야가 총재회담에 적극성을 보이는 것은 경색정국이 계속될 경우 정치권 전체가 비난여론을 떠안게 된다는 점을 인식했기 때문이다.
총재회담에 더 적극성을 보이고 있는 쪽은 일단 여권이다. 여권은 집권 1년만에 국정난맥상의 잇단 노출로 인해 정치를 안정시켜야 한다는 점을 절감하고 있다. 여당은 정국안정을 위해 △정치개혁 조기 추진 △대북 정책에 대한 초당적 협조 △노사문제 안정을 통해 경제회생 추진 △지역감정 자극 자제 등을 총재회담의 의제로 생각한다는 전언이다.
반면 한나라당은 지난해 11월 총재회담때 야당을 국정동반자로 인정한다는데 합의해 놓고도 야당파괴를 지속했던 점을 상기시키며 야당파괴 중단약속의 실행방안 등을 중점 거론한다는 방침이다.
양당 총장이 총재회담의 의제에 제한을 두지로 않기로 합의함에 따라 다양한 국정현안이 논의돼 일괄타결식 합의를 추진할 가능성이 높다.
그러나 총재회담이 열린다 해도 정국이 곧바로 정상화될 수 있을 지는 미지수다.
우선 여야가 총재회담에서 서로 주고받을 만한 뚜렷한 현안이 없어 상호협력 등 상징적인 합의에 머물 가능성이 있다.
또 서의원 문제가 걸림돌로 재등장할 수도 있다. 특히 여야가 10일부터 임시국회를 재소집키로 합의, 서의원 보호를 위한 ‘방탄국회’를 묵계한 데 대한 비난여론이 일 경우 서의원 처리방향이 달라질 수도 있다.
이와 함께 30일 치러지는 서울 구로을과 경기 시흥 국회의원 재 보선도 변수다. 선거운동 과정에서 여야의 감정이 격화돼 다시 대치정국이 조성될 가능성도 있다.
그러나 총재회담은 그 자체만으로 정국정상화의 큰걸음을 내딛는 첫걸음임이 분명하다.
〈김차수기자〉kimcs@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