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트렌드 생활정보 International edition 매체

[횡설수설]남찬순/철새 정치인

입력 | 1999-10-18 19:55:00


영국의 윈스턴 처칠은 보수당 당적으로 하원의원에 당선된 후 4년만에 자유당으로 옮긴다. 그는 18년간 자유당의원으로 내무장관까지 지낸 뒤 다시 보수당으로 복귀, 총리를 두번이나 역임하며 2차세계대전을 치른다. 영국에서는 정당을 옮기는 것이 정치적 자살행위나 마찬가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처칠은 대정치인으로서의 족적을 남겼다. 지금도 그를 ‘철새정치인’으로 부르는 사람은 없다.

▽미국에서도 당적을 옮기는 것은 엄청난 모험이다. 그러나 이를 극복한 의원들도 가끔 있다. 80년대 초 텍사스출신 민주당 하원의원 필 그램은 느닷없이 의원직을 내놓았다. 민주당은 뜻이 맞지않아 공화당으로 당적을 옮기겠다는 것이 그의 사퇴이유였다. 그는 사퇴후 다시 공화당후보로 보궐선거에 참여, 당당히 당선됐다. 그후 상원의원으로서 공화당의 대통령후보로까지 떠올랐던 그를 두고 ‘철새 정치인’으로 부르는 사람은 없다.

▽정치인이 소속 정당의 정책이나 이념에 거부감을 느낄 때 그 당을 떠나는 것은 오히려 당연하고 자연스러워 보인다. 처칠이나 그램을 ‘철새 정치인’으로 부르지 않는 것도 그때문일 것이다. 정당은 옮겼지만 다시 유권자의 심판을 받아 온다면 누가 그를 탓하겠는가. 그러나 우리의 ‘철새 정치인’들은 다르다. 의원직을 내 놓기는커녕 오히려 보신(保身)만을 위해 항상 권력의 보호를 받는 ‘안온한 서식지’만 찾아 다닌다. 여당으로 당적을 옮긴 정치인이 15대 국회에 들어와서도 26명이나 된다는 통계다.

▽합당이나 분당 등 정치권의 지각변동으로 당적이 바뀌는 경우는 그래도 봐줄 수 있다. 그러나 여당으로 ‘양지’를 찾아간 ‘철새 정치인’들, 특히 야당의원이었던 사람들은 지역 유권자들에게 어떻게 자신의‘변신’을 설명하고 있을까. 겉으로는 기자회견까지 열고 지역갈등 타파니, 새 정치 구현 운운했지만 그 말을 그대로 믿은 사람은 과연 몇이나 될까 궁금하다.

〈남찬순 논설위원〉chansoon@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