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는 곧 뇌이며 뇌는 곧 나’.
뇌는 인간의 정체성을 결정한다. 뇌의 신비를 모른 채 인간생명의 본질을 알 수 없다.
또 뇌질환을 극복하고 신경컴퓨터나 사이보그를 개발하는 것이 미래사회의 혁명으로 예고되고 있어 미국에선 ‘뇌연구의 10년’, 일본에선 ‘뇌의 세기’, 우리나라에선 ‘뇌연구촉진법’ 제정으로 새 밀레니엄을 대비하고 있다.
그러나 뇌의 신비를 벗기는 것과 높은 지능과 창의성을 가진 사람을 만든다는 것은 차원이 다른 문제다. 뇌 기능은 환경과 교육의 영향을 많이 받기 때문이다.
사람만 갖고 있으며 고등정신기능을 담당하는 ‘대뇌신피질’은 본능과 감정을 맡는 ‘변연피질’과는 달리 태어날 때는 정보가 거의 입력돼 있지 않다. 신생아의 뇌무게는 약 500g. 성인 뇌무게의 약 25% 정도이며 450만년 전 오스트랄로피테쿠스의 뇌 무게와 비슷하다.
신생아의 뇌는 적절한 자극에 의해 신경시냅스 회로를 새로 만들고 강화한다. 이때 뇌를 어떤 환경에 두느냐에 따라서 뇌 회로가 치밀하게 될 수도 있고 엉성해질 수도 있는 것.
팬티엄컴퓨터도 잘 쓰지 못하면 386컴퓨터보다 못한 것처럼 뇌를 잘 발달시키면 영재나 수재로 키울 수있지만 아무리 좋은 뇌를 가진 아이도 내팽겨치면 저능아가 될 수 있다.
그러나 아이에게 과도한 조기교육을 시키면 안된다. 오히려 뇌에 스트레스를 줘 발달을 방해할 수 있기 때문.
따라서 슈퍼인간을 만들려고 갈망하기 보다는 아기의 특성과 재능을 살릴 수 있는 교육을 자연스럽게 시키는 것이 중요하다.
서유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