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언하건대, 병상에서 쓴 시라는 이유만으로는 사람을 울릴 수 없다. 그다지 희망적이지만은 않은 운명을 정관(靜觀)의 시선으로 응시했다, 라는 이유도 상찬을 받기에 충분한 것은 아니다.
이윤림의 데뷔시집 ‘생일’ (문학동네 펴냄)을 빛나게 하는 것은 그렇다면…. 고통마저도 한꺼풀 뒤집어 보며 흐음, 고통의 가죽 또는 속살은 이렇게 생겼군, 이라고 주석붙일 수 있는 것. 대부분의 사람으로서는 접해보지 못했거나, 혹 접해본 사람이라면 그 어마어마한 하중에서 헤어나지 못했을 그 아픔의 이면을 냉정하게 비추어 보고, 때로는 해학의 시선까지도 던져보는 것. 그런 이유 때문일까.
42세. 계간 ‘내일을 여는 작가’ 봄호에 시 4편을 발표하면서 등단. 말기암으로 투병중. ‘그래, 뱃속에 가득 찬 건 복수다/모르지 않아/그래도 복수를 가득 담은 그릇이 되고 싶지 않아/(…)/그래, 이렇게 고쳐 부르겠다/-배에 용서가 가득 차니/보기 좋았더라’ (배에 용서가 가득 차니)
육체의 고통속에서 그는 정화(淨化)의 꽃을 얻으려 한다. ‘늑골 밑은 뻘밭이에요/하루에도 몇 번씩/게들이 기어나와 살을 깨뭅니다/쿡쿡 찌릅니다/죽었니? 살았니?//뻘흙 속에 발을 묻고 옆구리에서 수련을 피워내고 싶어…’
그러나 어찌 되어 갈 것인가. 같은 시의 제목과도 같다. ‘벌레 먹은 나뭇잎 하나/가지 끝에서 흔들립니다/그 후는 아무도 모릅니다’(오리무중)
다만 꺾이지 말아야 하리라. ‘이 둥그런 물의 방에 닿아/눈사람처럼 녹아버리지 않으려면/서둘러 눈을 들어 하늘을 보아야 한다/햇빛과 바람으로 눈을 씻고/두 무릎에 힘을 주어야 한다’(눈물)
무릎에 힘을 주고, 눈물 속에 녹아버리지 않으리라 다짐하면서도, 시인은 때로 가장 처연한 멜로디를 흘려보낸다. 또다른 길을 준비한다. ‘내가 사랑하는 이 방에/비가 오면 물구슬발 드리워지니/한 번 방문해 주게/(…)/와서 내가 없더라도/구태여 찾지 말게/추억 같은 걸 서랍에서 뒤지지도 말게’(수렴지실·水簾之室)
gustav@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