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도체 화학 생명공학 발전에 크게 기여할 수 있는 신소재로 각광받는 메조 다공성(多孔性) 실리카가 국내 연구진에 의해 결정형태로 합성돼 실용이 가능하게 됐다.
또 이 물질은 원자배열이 불규칙해 모든 결정은 원자배열이 규칙적이어야 한다는 기존 화학이론은 새로 쓰여지게 됐다.
한국과학기술원 화학과 유룡(劉龍)교수 연구팀이 메조 다공성 실리카를 결정형태로 합성하고 그 구조를 밝혔다고 세계적 과학잡지 ‘네이처’가 23일자에 표지기사로 실었다.
연구팀은 실리카 분자를 합성세제 주성분인 계면활성제 분자와 반응시켜 직경 5㎚(나노미터·1㎚〓10억 분의 1m)의 미세한 구멍이 무수히 많은 벌집이나 스펀지 모양의 결정을 만들었다. 이 물질은 지금까지 불규칙한 분말 형태로만 합성이 가능했다.
유교수팀은 이 결정을 일본 도호쿠대, 미국 캘리포니아대(샌타바버라) 연구팀의 도움으로 전자회절기법으로 촬영해 결정을 이루는 원자의 배열이 불규칙하다는 사실을 밝혀냈다.
이 물질은 지금보다 연산속도가 10만배나 빠른 반도체 칩 제조에 활용되고 유전자 단백질과 DNA 효소 등을 분리하거나 흡착하고 합성하는 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또 차세대 나노 반도체 개발에 필요한 신소재여서 최근 선진국에서 집중적으로 연구하고 있다.
메조 다공성 실리카는 2∼30㎚ 크기의 구멍을 무수히 지닌 실리카다. 실리카는 모래의 주성분인 실리콘 원자와 산소 원자가 1대 2의 비율로 결합해 이뤄진 투명한 고체 물질이다.
alchimiste@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