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사채시장은 여전히 개점휴업 상태기 때문에 지표금리가 6%대로 내려와도 주식시장의 유동성 증가를 기대하기 어렵다.”
4일 국고채 3년물은 정부의 1조 6000억원 규모의 바이백(Buy Back) 발표에 장중 한때 6.78%까지 하락했다. 이같은 금리 하락추세는 당분간 계속될 것으로 보인다.
증시전문가들은 그러나 한푼의 자금이 아쉬운 기업들이 여전히 회사채 차환발행이나 신규발행에 애로를 겪고 있는 상황에서 금리하락이 주가상승을 가져오기 힘들다고 지적한다.
즉 ‘금리하락->자금조달 비용하락->기업수익 향상->주가 상승’ 등 선순환을 기대하기 어렵다는게 증시전문가들의 대체적인 시각이다.
김동일 리젠트자산운용 이사는 “지표금리의 하락추세는 ‘보다 안전한 투자’를 원하는 시장분위기를 반영하는 것이기 때문에 지표금리 하락으로 시중 유동성이 주식시장으로 옮겨갈 것으로 기대하는 것은 무리다”고 지적한다.
일반적으로 채권이 주식보다 상대적으로 안전한 금융자산인데 회사채도 외면하는 투자자들이 어떻게 주식에 투자하겠느냐고 김 이사는 반문한다.
채권투자를 일시적으로 중단했으면 했지 주식시장으로 옮겨가지 않는다는 얘기다.
실제로 국민연금 등 연기금은 지표금리가 8%대 이하로 떨어지고 나서 채권투자를 중단하고 있는 걸로 알려졌다. 정부가 매매를 재촉하면 마지못해 국고채 등을 매수하고 있다.
증권전문가들은 기업구조조정이 보다 가시화되지 않으면 지표금리가 아무리 하락해도 주식시장으로 자금이 들어오기 어렵다고 전망한다.
영업활동을 통해 원리금을 상환할 능력이 없는 기업이 시장 외적인 힘에 의해 연명하는 한 채권시장의 정상화를 기대하기 어렵다고 지적한다.
즉 기업들의 신용위험이 금리에 제대로 반영될 수 있는 환경이 마련돼야 한다고 김남익 미래에셋자산운용 채권펀드매니저는 주장한다.
김 펀드매니저는 “국내 회사채의 만기가 3년이듯이 채권은 주식보다 투자기간이 긴 만큼 조금이라도 원리금상환능력이 의심되면 해당 기업에 투자하기 어렵다”며 “시장외적인 힘이 회생불가능한 기업을 살려주고 있는 현실에서 지표금리는 투자잣대가 될 수 없다”고 지적한다.
현금상환능력이 의문시되는 기업들이 자금을 조달하기 위해선 금리를 많이 줘야 투자자들을 유치할수 있는데 정부가 CBO펀드와 채권전용펀드 등을 조성하면서 이같은 시장기능이 사라졌다고 지적한다.
김 펀드매니저는 원론적인 얘기지만 정부가 국고채 바이백이나 11월부터 만기가 도래하는 통화안정증권의 상환을 통해 금리를 떨어뜨려 주식시장으로 자금을 유도하기 위해선 철저한 구조조정만이 해답이라고 강조한다.
박영암 pya8401@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