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트렌드 생활정보 International edition 매체

[씨네인터뷰]의 이재용 감독 "슬픈 이야길 웃기게 하고 싶다"

입력 | 2000-12-08 11:40:00


인간의 기억력은 불완전하다. 못난 기억력에 의존해 보건대, 를 막 끝내고 만난 이재용 감독은 유독 한 가지 질문에 예민한 반응을 보였다.

"일본 영화적인 느낌이 많이 들어요." "저, 일본영화 거의 본 적 없는데…왜 자꾸 사람들이 그런 말을 하는지 모르겠네요."

이번에도 예외 없이 그는 묻지도 않았는데 "저, 일본 신세대 소설 거의 본 적 없어요"라고 변명하듯 말했다. 그 유명한 무라카미 하루키의 조차 읽지 않았다고. "장편소설은 호흡이 가빠 잘 읽히지 않는다"고 했다. 에 일본 신세대 소설다운 감성이 많이 스며든 이유는, 그 자신의 표현에 의하면 "동시대를 살아가는 창작자들의 감수성이 비슷하기 때문"이란다.

죽음을 꿈꾸는 일본 소녀 아야(다치바나 미사토)와 동사무소 말단 직원인 우인(이정재)의 만날 듯 말 듯한 사랑을 담은 는 여러 가지 재미있는 코드가 많이 숨겨진 영화다. 등장 인물의 이름조차도 함부로 지어진 것이 아니고, 자신의 전작인 등을 '자기 복제'한 흔적도 농후하다.

▲ 관련기사

[씨네리뷰], 우연속에 스며드는 운명같은 인연

[씨네인터뷰]만든 이재용 감독 "멜로는 당의정"

[씨네리뷰]첫 사랑의 고백 같은 영화

한국의 쿠엔 필름과 일본의 쇼치쿠 영화사가 합작한 영화 는 일본과 한국 젊은이들의 동시대 정서를 차용하고, 또 그것을 통해 우연처럼 다가오는 필연의 사랑을 말한다. 한국과 일본, 동시대의 호흡을 공유하는 사람들에게 부쳐지는 긴 연애 편지 같은 영화.

를 연출한 이재용 감독은 현재 조바심 내며 영화의 개봉을 기다리는 중이다. 그를 만나 영화에 대한, 영화에 숨겨진 재미있는 코드에 대한 이야기를 나눴다. 하고 싶은 말이 너무 많은 이재용 감독이 풀어놓은 이야기.

우연과 인연의 모티프에 집착하는 이유는?

-집착하는 건 아닌데…이상하게 이런 영화를 두 편이나 만들게됐다. 그 상황 자체가 우연이자 인연이 아닐까. 의 기획 아이템, 이를테면 두 도시에서 살아가는 서로 다른 남녀, 인터넷을 통한 만남 같은 이야기를 들었을 때 "재밌겠다"는 생각이 먼저 들었는데, 이건 실제로 내가 우연과 인연에 관한 경험을 많이 했기 때문이 아닐까 싶다. 작년 6월경인가, 동경 지하철에서 10년만에 우연히 아는 후배를 만났다. 우린 하필이면 그 지하철 같은 칸에 타고 있었고, 함께 탔더라도 못 볼 수 있었는데 서로를 보게 됐다. 난 이런 경험을 정말 많이 했다. 거짓말 같은 우연이라고 말할지 모르지만, 나뿐만 아니라 사람들도 살면서 이런 경험을 많이 해봤을 것이다. 그 사건이 모티프가 된 건 아니지만, 일종의 '확인'이거나 무의식적인 자극 정도는 됐던 것 같다.

의 '이우인'은 에서도 여전히 '이우인'이다. 같은 배우가 같은 이름의 배역으로 출연한다는 사실이 흥미롭다.

-이정재가 이 영화에 출연하겠다고 했을 때 갑자기 '이우인'이란 이름을 그대로 써야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이우인, 어감이 좋다. 모나지 않고 부드러운 느낌을 준다. '우연'과 '인연'의 앞 자를 따서 지은 이름이라는, 일종의 말장난도 섞여 있고. 난 의 이우인이 어릴 적 이민을 가지 않고 한국에 살았더라면 의 이우인처럼 되지 않았을까, 란 생각을 해봤다.

두 사람은 성격이 많이 다른 인물인데…. 의 이우인은 의 이우인보다 훨씬 세련된 남자가 아니었나?

-기본 성격은 같다. 혼자 있는 거 좋아하고, 남들과 잘 어울리지 못하는 남자. 사람들은 의 이우인이 좀 망가진 캐릭터고 의 이우인은 세련됐다고 하는데, 사실은 의 이우인도 절대 세련된 인물이 아니었다. 친구들과 축구하는 거 좋아하고 지저분한 오락실에서 오락이나 했던 인물이 아닌가. 난 한국이란 나라가 의 이우인을 의 이우인처럼 만들어놓았고 생각한다.

한국사회에 대한 적대감의 표명인가?

-한국사회는 각박하다. 멋있게 살고 싶어도 그럴 수 없게 만드는 사회다. 버스 타고 있는데 그냥 출발해버려 넘어지게 만들고, 한마디로 우아할 틈을 안 준다.

그렇다면 의 우인과 의 우인의 다른 점은?

-아버지 때문에 하고 싶은 일을 포기했다는 점에선 같다. 거세된 남성의 표본이랄까. 하지만 의 우인에겐 '호모 포비아(동성애 혐오증)'적인 성향이 짙게 배어있다. 매형이 "속옷 빨아 줄게", "등 좀 밀어줄래?"라고 말할 때 우인이 보이는 뜨악한 표정이 이를 반영한다.

한국의 20대 청년인 우인의 일상은 취재 없이도 잘 그려낼 수 있었겠지만, 일본 18세 소녀의 삶을 포착하는 건 쉽지 않았을 것 같다. 취재를 많이 했나?

-솔직히 취재 같은 건 한 번도 하지 않았다. 게을러서…. 때 30대 아주머니들에게 "이럴 땐 가정을 버리시겠어요?" 같은 조사를 했었는데, 이번엔 그냥 느낌으로 그려냈다. 영화 촬영 전 일본에서 잠깐 생활했을 때도 내 일과는 그냥 서점에 가고, 길거리에 앉아 사람 구경하는 일밖엔 없었다. 심지어는 일본 영화 한 편 보지 않았다. 말이 통하지 않는데 봐서 뭐하나. 그냥 '느낌'으로 그려나간 캐릭터다.

이 영화엔 뿐 아니라 당신의 성공적인 단편 와 미완성 다큐멘터리인 의 색깔이 많이 배어 나온다.

-어떤 사람은 이 영화가 와 비슷하다고 하고 또 어떤 사람은 많이 다르다고 한다. 난 이 영화가 와 많이 비슷하다고 생각하는 쪽이다. 그걸 더 직접적으로 표현하기 위해 원래 이 영화의 매형 역으로 송영창을 염두에 두고 있었다. 불미스러운 사건 때문에 캐스팅할 수 없게 됐지만. 난 우인의 매형이 에서 집나간 아내를 두었던 송영창의 분신쯤으로 봐주길 바랬다. 에서 TV 모니터에 앵글을 많이 맞췄던 것처럼 이 영화에서도 인터넷 모니터에 앵글을 많이 맞췄다. 에 관한 다큐멘터리는 '두 도시 이야기'라는 포맷으로 이 영화에 스며든 셈이고. 는 가장 '나다운' 영화다. 하고 싶은 걸 다 해봤다.

전작들의 분위기에 코미디 코드들 덧붙인 점도 재미있다.

-의 주인공들은 모두 비극적이다. 미혼모의 몸에서 태어나 다시 미혼모가 된 리에, 명문대 출신인 줄 알았지만 실제론 포르노 관련 일을 하며 살아가는 다카시, 레즈비언인 미아, 외국인 노동자 네마자데 등. 주인공은 물론이고 조연 캐릭터들도 모두 불운하다. 하지만 난 슬픈 이야기를 그냥 슬프게 그리고 싶지 않았다. 슬픈 이야기를 항상 웃으면서 하고 싶은 게 내 욕심이다.

에서보다 삶의 자질구레한 일상이 많이 노출되어 있는 편이다.

-키치적인 코드를 좋아한다. 먹고, 싸고, 배설하는 것들. 그런 것들을 잘 살렸다는 점에서 이 영화가 만족스럽다.

'키치적 코드' 하니까 생각이 나는데, 이정재가 토악질하는 장면은 어떻게 찍은 건지 보는 내내 궁금했다.

-물을 3리터쯤 먹이고 실제로 토하게 했다. 고생 많이 해서 찍은 장면이다.

는 리우데자네이루로 향하는 비행기 안에서 영화를 끝냈고, 이 영화는 꿈꾸는 장소에 도착하는 모습까지 보여줬다. 이 두 가지의 차이점은 뭐라고 생각하나?

-알래스카 신을 꼭 넣을 필요는 없었다. 하고 싶은 이야긴 그 전에 다 한 셈이다. 그건 일종이 '당의정' 같은 거다. 차이밍량 스타일로 영화를 만들면 관객이 많이 들겠는가. 난 관객과 함께 호흡하고 싶다. 누가 채근해서 타협한 것이 아니라, 마지막 두 사람이 만나게 함으로써 멜로적인 코드를 넣고 싶었다. 고상한 척하고 싶었으면 알래스카로 향하는 비행기 안에서 영화를 끝냈을 것이다. 내 생각엔 그게 오히려 타협이다.

두 사람이 꿈 꿨던 알래스카는 '겨울'이었는데, 실제로 두 사람이 찾아간 알래스카는 가을 풍경이다. 이건 꿈과 현실의 괴리감을 표현하는 것인가?

-그렇다. 꿈과 현실은 항상 같지 않으니까.

아야의 '구두'가 담고 있는 의미는?

-구두는 떠남의 이미지이기도 하고, 프로이드의 분석에 의하면 '성적인 욕망'이기도 하다. 아야가 구두 상자를 여는 장면은 성적 욕망의 발현이라고 봐도 무방하다. 이런 식으로 한 번 표현해보면 어떨까? 우인을 한 마리의 정자로, 아야를 한 마리의 난자로 설정했을 때, 두 개가 만날 수 있는 확률은 몇 억 분의 1에 불과하다. 하지만 그들은 결국 비행기로 은유된 '질'을 통과해 '자궁' 같은 이미지의 알래스카에 도착한다. 알래스카는 신성한 공간이기도 하고 또 한 편으론 섹스가 이루어지는 공간이기도 하다.

이 영화엔 여러 가지 재미있는 코드가 많이 삽입되어 있다. 이름으로 장난친 대목도 많고.

-우인은 아까 말했듯이 우연과 인연의 합성어. 아야의 인터넷 예명인 '아사코'는 피천득의 에서 따온, 우리에게 가장 친숙한 일본 이름이다. 아사코란 이름은 일본어로 조자(朝子, 아침에 태어난 사람)란 뜻인데, 영화 속에서 그녀가 "아침에 올 수 있어요"라고 말하는 바람에 자연스럽게 아사코란 예명을 갖게 됐다. 이건 루이 브뉘엘의 를 염두에 둔 설정이다. 의 여주인공은 "낮에 오는 여자"라는 예명을 갖고 있다. '낮에 오는 여자'와 '아침에 오는 여자'…재미있는 대구(對句) 아닌가. 또 일본에 사는 외국인 불법 노동자를 이란 인으로 설정했을 때 이란 감독 압바스 키아로스타미가 만든 가 떠올랐다. 주인공 이름이 네마자데였고, 이건 우리에게 가장 친숙한 이란 이름이라고 생각했다.

재미있는 코드를 많이 삽입한 까닭은?

내가 4.19 세대였거나 그보다 더 오래 전 사람이었다면 아마도 윤동주의 시구를 인용했을 것이다. 하지만 내 토양은 어쩔 수 없이 TV나 영화 같은 대중문화다. 그건 일부러 이런 코드를 담아야지 고민해서 만들어진 게 아니라, 자연스럽게 내 토양에서 우러나와 영화로 스며든 것이다.

와 가 비슷한 스타일이어서 인지, 다음엔 어떤 영화를 만들 지 더 궁금하다. 스타일리스트적인 측면을 계속 살려나갈 것인가?

그럴 수도 있고 아닐 수도 있다. 지금 준비중인 작품은 사극이다. 우리 나라에도 새로운 형식의 사극이 있었으면 좋겠다. 아주 멋진, 폼 나는 사극을 만들 거다. 난 장르 영화의 틀 안에서 그걸 조금씩 깨버리는 영화를 만들고 싶다. 언젠가는 다큐멘터리를 한 편 만들어 보고 싶은데, 사람들이 생각하는 것처럼 칙칙한 다큐멘터리가 아니라, 아주 재미있는 그런 다큐멘터리를 만들 것이다.

황희연 benotbe@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