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트렌드 생활정보 International edition 매체

[무용]무용+과학 '사이버 안무 시대' 열리나?

입력 | 2001-01-10 19:06:00


국내 무용계에 ‘디지털 댄스’ 또는 ‘사이버 안무’의 세계가 열리고 있다.

지난해부터 발레 동작을 컴퓨터에 담는 연구를 해오고 있는 세종대 무용과 장선희교수가 ‘디지털 댄스’를 개척하고 있는 주인공.

장교수는 우선 컴퓨터 입력을 위해 무용수들에게 머리 팔꿈치 무릎 등 신체의 33개 관절에 센서를 부착하고 춤을 추도록 했다. 특수 제작된 컴퓨터는 이들의 춤 동작을 감지해 디지털 신호화한 것.

이 작업에는 ‘유니버설발레단’의 이원국 황재원 김세연 임혜경 등 국내 정상급의 무용수들이 참가했다. 이원국 임혜경은 솔리스트로 발레의 주요 동작을 선보였고, 황재원―김세연은 ‘잠자는 숲속의 미녀’ ‘라 바야데어’ ‘돈키호테’ 등 주요 클래식 발레의 파드되(2인무)를 췄다.

이 자료가 올 상반기 중 데이터베이스로 구축되면 언제든지 춤 동작을 컴퓨터 화면위에 재현할 수 있다. 안무가는 이 가운데 무용수의 숫자나 동작 등을 선택해 작품을 ‘가상 안무’할 수 있다. 이 과정을 ‘디지털 댄스’라는 말로 표현한 것.

장교수는 “아라베스크나 훼테 등 발레의 주요 동작들을 계량화했다”며“한발 나아가 움직임이 정형화된 클래식 발레는 기쁨 슬픔 분노 등 감정에 따른 동작의 분류도 가능할 것”이라고 말했다.

무용을 원형에 가깝게 보존하려는 노력은 체코 태생인 라반(1879∼1958)이 개발한 ‘무보(舞譜)’로 거슬러간다. 이 기록법은 춤 동작을 공간 시간 힘 등으로 나눠 종이 위에 표시한 것. 그렇지만 짧은 공연의 기록에 엄청난 분량이 필요한 데다 기록법도 어려워 일반화되지 못했다.

무용계는 50년대이후 테크놀로지의 급격한 발전에서 ‘묘수’를 찾았다. 머스 커닝엄, 모리스 베자르 등 세계적인 안무가들이 비디오와 컴퓨터 등을 끌어들여 춤의 보존과 창작에 활용하기 시작한 것. 특히 ‘비디오 댄스’라는 용어를 유행시킨 커닝엄은 1985년 자신이 개발한 소프트웨어를 통해 컴퓨터 상에서 작품을 안무하는 디지털 댄스의 본격적인 개막을 예고했다.

이화여대 무용과 신상미 교수는 “디지털댄스는 단지 무용 동작을 컴퓨터에 담는데 그치지말고 무용수의 세밀한 감정을 표현해내는 것이 과제”라며 “새로운 연구의 성과가 주목된다”고 밝혔다.

gskim@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