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서양의 觀念差異가 큰 것은 여러 방면에서 觀察(관찰)되는데 달에 대한 생각도 그 중의 하나다. 동양사람들에게 달은 매우 ‘친근한’ 존재다. 李太白은 강물에 비친 보름달을 안으려다 빠져 죽었으며, 우리에게는 쟁반같이 둥근 달, 계수나무 아래서 토끼가 방아를 찧고 있는 달로 인식되어 있다.
滿月(보름달)이 주는 상징성은 豊饒(풍요)와 圓滿이다. 그래서 우리 조상들은 달 중에서도 보름달을 특히 사랑했다. 그러나 서양사람들에게 보름달은 이와는 정반대다. 온갖 괴물이 둔갑하거나 출몰하므로 不吉한 날일 뿐이다.
한 해에 처음 맞이하는 보름달을 우리는 ‘정월 대보름’이라고 하여 특히 중시했다. 중국에서는 이 날을 元宵節(원소절)이라고 하여 형형색색의 燈(등)을 내거는 燈祭가 있으며 湯圓(탕원·탕위엔)이라고 하는 구슬만한 둥근 떡을 먹는다. 우리도 알고 있는 走馬燈(주마등)이 내걸리는 때도 이 날이다. 중국 사람들은 정월 초하루부터 시작해서 대보름까지 무려 15일간을 축제로 삼고 있다.
우리는 이 날을 上元節이라고도 하여 中元節(7월 15일 百中), 下元節(10월 15일)과 함께 ‘三元節’이라고 했다. 여기에다 8월 15일 추석(中秋節)이 있으니 우리 조상들이 보름을 얼마나 중시했는지 알 수 있다. 우리나라의 일년 세시풍속 행사 중 상당수가 正月에 集中되어 있으며, 그 핵심은 대보름과 관계된다고 한다. 정월 대보름이 우리 民俗에서 차지하는 비중을 알 수 있다.
東國歲時記에 의하면 ‘이 날은 온 집안에 등불을 달아 놓고 밤을 지새니 마치 섣달 그믐날 밤의 守歲와도 같다’고 했다. 아직도 이런 풍습은 지방마다 남아 있다. 또 洞祭의 풍속도 있었다. 그 해 한 동네의 평안과 풍년을 기원했던 祭祀로 일찌감치 祭主를 선정해 준비에 들어간다. 奉祀했던 장소는 대체로 마을 뒷산 꼭대기의 숲 속이었는데 며칠 전부터 동구 밖 느티나무에서부터 이곳까지 수백m에 걸쳐 금줄이 쳐졌다. 당일 沐浴齋戒(목욕재계)한 祭主는 밤새도록 불을 밝혀놓고 동네의 평안을 빌었다.
전국적으로 널리 지켜졌던 습속으로는 節食으로 오곡밥을 먹는다거나 호두나 밤 등과 같은 부럼을 깨 먹었으며 귀밝이술을 마시기도 하였다. 또 쥐불놀이를 한다거나 ‘더위팔기’도 있었다.
鄭錫元(한양대 안산캠퍼스 교수·중국문화)
sw478@email.hanyang.ac.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