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트렌드 생활정보 International edition 매체

[김형석의 테마무비]엄마의 사랑은 끝이 없어라

입력 | 2001-02-25 18:03:00


페미니스트들은 모성 신화를 비판적으로 바라보는 일이 많지만 우리 모두가 '어머니의 자식'인지라 그녀들의 이름을 쉽게 잊긴 힘들다. 영화는 물론이고 연극 문학 음악 등에서 나타나는 '모정의 세월'은 그렇게 지나갔고 여전히 엄마의 사랑은 끝이 없다.

라스 폰 트리에 감독의 (Dancer in the Dark, 2000)는 가장 최근 우리 곁에 찾아온 '엄마 이야기'다. 미국 워싱턴 주의 한 공장에서 일하는 셀마는 점점 시력을 잃어간다. 그녀가 지닌 어두움의 유전자는 아들에게도 전해졌고 셀마는 이를 극복하기 위해 아들의 수술비를 모은다.

작년 칸영화제 황금종려상을 수상하긴 했지만 이 영화에 대한 격렬한 비난 또한 만만치 않았다. 이 영화에 쏟아진 찬사는 셀마 역을 맡은 비요크의 '감동적인'(그녀의 연기력을 설명하기에 이 단어는 너무 진부하다) 연기와 뮤지컬이라는 고전적 장르를 디지털과 결합했다는 실험성 때문이겠지만, 이야기의 작위성과 눈물에 대한 지나친 강요, 도그마 선언에 대한 스스로의 위반 등은 분명 비난의 초점이었다. 특히 마지막 교수형 장면에서 라스 폰 트리에 감독은 관객을 고문하듯 몰아친다.

이와 비슷한 모성애 신화 중엔 (68, 정소영)이 있다. 한 남자가 서울에서 혜영이라는 여자를 만난다. 둘은 사랑하고 여자는 임신한다. 여기까지는 아무 문제가 없지만… 아뿔싸, 남자에겐 이미 마누라가 있었고 혜영은 눈물을 삼키며 떠나 그 남자의 아이를 홀로 키운다. 하지만 여자 혼자 아이를 키운다는 게 쉽지 않았고 8년 후 성공한 그 남자에게 아이를 보내는데 아이는 "엄마, 엄마는 어디 있는 거야"라며 칭얼거린다. 이 영화의 압권은 '빗속의 눈물' 장면. 당시 아줌마 관객들은 이 장면에서 기어이 극장을 눈물 바다로 만들고 말았다. 그녀들에게 은 결코 남 얘기가 아니었던 것 같다.

페드로 알모도바르 감독의 (Todo sobre mi madre, 99) 또한 그 무엇보다도 헌신적이며 위대한 모성을 이야기한다. 이 영화는 전형적인 모성 드라마에 동성애 코드를 삽입하고 할리우드의 고전 걸작 을 겹친 '풍부한 텍스트'다. 마누엘라는 아들의 죽음을 알리기 위해 헤어졌던 남편을 찾아가지만 그는 여장남자가 되어 있다. 그곳에서 만난 수녀 로사는 임신중이었는데 아이의 아버지는 여장남자가 된 전남편이었다. 여기서 마누엘라는 모든 것을 용서한다. 그녀는 임신중독증으로 아이를 낳다 숨진 로사의 아이에게 죽은 아들의 이름인 '에스테반'을 붙인다. 그리곤 아들의 죽음을 초래한 장본인인 여배우 위마를 만나지만 오히려 그녀의 친구가 된다. 모성은 이토록 위대하기만 한 것일까? 적어도 이 영화 속에서는 그렇다.

영국의 좌파감독 켄 로치는 영국 복지정책의 허구를 비판하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