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리히 프롬은 ‘사랑도 기술’이라고 했다. 프롬은 사랑은 연습하면 할수록 향상되는 기술과 같다고 생각했다.
나는 ‘사랑은 경험’이라고 생각한다. 첫아이를 낳고서는 본능적인 모성애를 느끼기도 전에 새 생명에 대한 당황스러움으로 어찌할 바 몰라 쩔쩔맸다. 그러나 아이를 먹이고 입히고 씻기고 살을 비비면서 서서히 엄마로서의 본능을 느끼고 충만한 사랑을 경험하게 됐다.
둘째아이는 첫애의 경험이 밑거름이 됐는지 아이와 교감하며 느끼는 행복함이 나를 꽉 채우고도 넘치게 했다. 무엇보다도 감사할 일은 두 아이를 낳고 키우면서 커지는 사랑이 자식에게만 멈추지 않고 자꾸 세를 넓힌다는 것이다.
첫째로 낳아주신 부모님에 대한 치사랑이다. 아이에 대한 사랑을 경험하면 할수록 수십년 전부터 지금껏 자식에게 보내는 한결같은 부모님의 사랑이 느껴져 가슴 한구석이 몹시도 저린다. 어리석게도 부모의 입장이 된 이제서야 그분들의 사랑을 알 것 같다. 난 아직 그분들의 사랑에 100분의 1도 못 미칠 터이니 앞으로 더 큰 사랑을 경험하며 얼마나 가슴저린 일들이 많아질까 싶다.
둘째는 생명에 대한 사랑이다. 이 세상 모든 부모가 다 나 같은 마음일 테니 그 생명 하나하나가 얼마나 소중하고 귀한 것인가. 이 세상의 모든 생명의 존귀함은 굳이 천부인권이니 인간존중이니 하는 말을 꺼내지 않아도 사랑의 경험으로 느낄 수 있다.
셋째는 바로 나에 대한 사랑이다. 아이를 낳고 그 경험을 빌려 부모의 사랑을 짐작하고 생명에 대한 경외감을 느끼면서 바로 나라는 사람을 되돌아보게 된 것이다.
어렸을 적 자신에 대한 오만에 가까운 자신감이 아니라 스스로에게 겸손하며 부모의 자식으로서, 아이의 엄마로서 나는 정말 소중한 존재임을 느끼고 감사하게 한다. 결국 나를 사랑하는 것이 부모와 아이를 사랑하는 것이란 것을 깨달았다.
엄마라는 이름으로 지내온 지 겨우 6년. 육아칼럼을 쓰면서도 참 모자란다는 걸 느낀다. 또 아이를 키우면서 경험하는 사랑의 깊이와 크기에 새삼 놀란다. 아이를 양육한다는 것은 결국은 내가 바르게 사는 것을 보여주는 일이 아닐까? 아이를 잘 키우는 것의 시작은 부모에게 있다. 듣는 대로 자라는 것이 아니라 보는 대로 자란다는 아이들에게 사랑을 보여주며 느끼며 살아야겠다는 생각이 든다.
경험하는 사랑이 점점 더 커져 나와 내 아이뿐만 아니라 이웃과 모든 아이에 대한 사랑으로 발전했으면 하고 바라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