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트렌드 생활정보 International edition 매체

[심층 리포트]어설픈 가뭄대책 수해 부를라

입력 | 2001-06-18 18:39:00

굴착된 수로를 따라 물이 거슬러 올라가고 있는 충북 청원군 병천천


‘어설픈 가뭄대책이 장마 재앙을 부른다.’

그동안 가뭄을 극복하기 위해 정부와 농민들이 구슬땀을 흘리며 실행해온 주요 대책은 하상(河床) 굴착과 관정 개발. 그러나 이번주 초에 찾아온 단비에 이어 곧 장마가 닥칠 것으로 예고되면서 또 다른 고민거리가 대두되고 있다.

파헤쳐진 강바닥이나 물이 나오지 않은 실패한 관정(실패공)이 장마 전에 복원되지 않을 경우 홍수와 지하수 오염으로 이어질 것이라는 우려 때문.

전문가인 한국교원대 기술교육과 정동양(鄭東陽·52·하천공학 전공) 교수, 충북대 지구환경과학과 김지수(金智洙·45·지하수탐사 전공) 교수와 함께 현장을 점검해 봤다.

▽하상 굴착 현장〓14일 오후 5시경 충북 청원군 강외면 쌍청리 병천천. 폭 100여m의 하천에는 폭 5m, 깊이 2∼3m 가량의 또 다른 작은 하천이 들어서 있었다. D기업이 인근 농경지에 물을 공급하기 위해 하류 쪽으로 2㎞ 가량 떨어진 미호천에서부터 하상을 파올라 온 것.

“이 상태로 장맛비가 오면 새로 판 좁은 하천으로 거센 물줄기가 유입되는 것과 동시에 바닥에서 파낸 토사(높이 2∼3m)가 본래 강의 하류에 퇴적되면서 하천의 상하류가 뒤바뀔 수도 있어요. 강을 거슬러 올라가는 물길은 제멋대로 흐르기 때문에 제방이 붕괴되는 것은 시간문제예요.”

정 교수는 “병천천의 하상 굴착은 하천변으로 지그재그로 이뤄져 더 큰 피해가 우려된다”며 “조속히 복원하지 않으면 힘겹게 심은 농작물을 한꺼번에 떠내려보낼 수 있다”고 경고했다.

▽관정 개발 현장〓16일 오전 11시경 청주의 A마을 농수로. 풀섶 가운데에서 지름 7㎝ 가량의 실패공이 눈에 들어왔다. 이 마을 주민이 일주일 전 관정업자에게 의뢰해 파놓은 이 실패공에는 오염방지 시설은 물론 시추 표시조차 없었다.

“장맛비로 인해 주변 논밭의 비료와 농약 등이 섞인 물이 농수로에 넘치면 실패공으로 유입될 거예요. 주변 농가의 식용 지하수까지 위협할지 몰라요.”

김 교수는 “실패공이나 제대로 처리되지 않은 폐공은 ‘지하수 오염의 고속도로’”라고 말했다. 지표수는 지하로 스며들며 걸러지지만 실패공 등으로 유입될 경우 여과장치가 없어 곧바로 지하수와 섞이기 때문. 오염된 지하수를 복구할 방법은 없다.

최근 개발된 이 마을 관정 3곳 중 실패한 2곳은 폐공처리가 이뤄지지 않았다.

▽현황 및 문제점〓충북도 내 크고 작은 하천에서 지난 한달간 이뤄진 하상 굴착 현장은 239개 하천에 641곳. 가뭄이 제법 심했던 95년의 10배가 넘는 수준이다. 충북도는 비가 내린 18일에야 실태 파악에 나섰다.

또 가뭄기간 도내에서 개발된 농업용 관정은 2693곳. 하지만 이는 물이 나온 성공 관정이며 실패공은 수조차 파악돼 있지 않다. 일선 시 군에 따르면 이번 가뭄기간 많게는 5∼6개씩 구멍을 뚫어야 한 곳 정도 물이 나오는 실정이었다.

지하수법상 실패공의 폐공처리 의무자는 관정 개발 신청자인 농민이나 일선 시 군(자치단체가 직접 개발한 경우). 하지만 정부의 관정 개발 지원비에는 실패공 처리비용이 포함돼 있지 않아 농민들은 실패공이 많을 경우 관정 개발비(50만∼70만원)에 육박하는 폐공처리비용을 부담해야 하며 자치단체도 이를 위해서는 별도의 예산을 편성해야 한다.

▽대책〓정 교수는 “지금부터라도 파헤친 하상과 양수기 설치를 위해 훼손한 제방 등을 원상복구해 나가야 큰 장마피해를 막을 수 있다”며 “전문가의 자문을 얻으면 위험성이 높은 곳 위주로 작업을 펼쳐 비용과 시간을 줄일 수 있다”고 말했다.

김 교수는 “완벽한 폐공처리가 절실하지만 우선 실패공의 위치를 정확히 파악해 표시한 뒤 오염방지용 덮개라도 설치해야 한다”며 “이번 가뭄은 특수한 상황이었던 만큼 농민들에게만 폐공처리를 미루지 말고 정부 차원에서 지원을 해야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mhjee@donga.com